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상현상현현상
상현상현현상22.08.22

불이 꺼지는 원리가 궁금해요!

불에다가 물을 부으면 불이 꺼지잖아요

근데 물을 부으면 공기중에 산소가 불과 접촉하지 못해서 불이 꺼지게 되는 것인지 아니면 물을 부었을때 특정한 성분때문에 불이 꺼지게 되는 것인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불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크게 3가지 정도의 요소가 있는데, 먼저 산소, 타는 물질, 온도가 되겠습니다. 물의 경우 온도를 낮추는 역할이 가장 큽니다. 순간적으로 산소와의 차단을 시키는 역할도 있을 것으로 생각은 됩니다.

    반면 불이 발생했을때 물로 끄면 안되는 경우들도 있는데, 대표적인 것은 기름에 의한 불입니다. 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고 대부분의 기름이 물위에 뜨기 때문에 더 큰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도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을 부어서 불을 끄는 원리는 온도를 낮춰서 불의 발화점을 떨어뜨리는 것입니다.

    소화기들 중에 산소를 차단하는 소화기도 있고, 모래를 덮는 것도 산소를 차단해서 불을 끄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크게 두 가지의 이유가 있습니다.

    첫 번째, 물을 부음으로써 발화 지점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불을 꺼트리게 됩니다.

    두 번째, 산소와의 접촉을 억제함으로써 불을 꺼트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연소에는 3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발화원, 발화점 이상의 온도, 산소

    물을 끼얹는 행위는 물의 높은 비열을 통해 온도를 낮추는데에 의미가 있습니다.

    다만, 많은 양을 부어 잠기게 한다면 온도 제어와 산소 차단도 같이 되겠네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은 주변공기와 탄화수소를 포함한 유기물과 반응시켜야합니다.
    즉, 탄화수소인 탈것이 모두 떨어지면 불아 자동으로 꺼집니다.

    물을 붓게되면, 물체와 공기를 차단하기도하고, 발화점이하의 온도라 낮추기때문에
    불이 꺼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을 부으면 냉각소화가 되는 거랍니다. 산소의 통제로 불을 끄는 것은 소화기로 끌 경우가 해당되구요!


  • 불이 나는 이유는 3가지 필수 조건을 만족했기 때문입니다.

    - 발화점 이상의 온도

    - 불에 탈 물질

    - 산소

    물을 붓게 되면 발화점 이하의 온도가 되므로 불이 꺼지게 됩니다.

    또한 물에 의해 산소의 공급도 급격히 떨어지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에 물을 부으면 산소가 차단되면서


    물과 연소할 수 있는 매개체가 사라져 불이 꺼지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을 붙이기 위해서는 열(불)과 산소와 연료(종이, 나무 등)가 있어야합니다. 불을 끄기위해 물이나 소화기를 분사하는데, 물은 산소도 차단할 뿐더라 열을 급격히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불을 끄는데 도움을 줍니다. 소화기는 산소의 접촉을 차단하기 때문에 불을 끄는데 도움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