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수요일
수요일

멍게는 어느 생물에 속하는건가요?궁금합니다

껍질속에 살이있는것같고 그렇다고 껍질이 단단하지도 않은 이생물은 도데체 어느부류에속하는건지 알고싶습니다 알려주시기바랍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멍게는 해초강에 속하는 피낭동물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척삭동물문의 측성해초목에 속하는 멍게과의 멍게속에 속하는 동물입니다.

    멍게는 주로 해류가 잘 흐르는 수심 20m 정도의 해저에서 서식하며, 자웅동체로 한 몸에 정소와 난소를 모두 지니고 있습니다. 멍게의 유성 생식과 유충은 비교적 근래에 밝혀진 사실로, 이전에는 자포동물과 같이 보다 단순한 형태를 갖는 동물로 알려져 있었지만, 유충의 척삭이 확인되면서 더욱 복잡한 진화과정을 겪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 멍게는 

    척삭동물로 분류됩니다.

    구체적으로는 동물계, 척삭동물문, 해초강, 측성해초목, 멍게과에 속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멍게는 해양에서 서식하는 무척추동물로 해면동물에 속합니다. 멍게는 겉보기에는 단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유연한 체질을 가진 동물입니다.

  • 안녕하세요.

    멍게는 피낭동물의 일종으로

    분류학상으로 척삭동물문 -해초강 -강새해초목 -멍게과 -멍게속 -멍게 로 분류하며

    강새해초목에는 멍게 미더덕 오만둥이 보라판멍게 등이 속합니다.

    멍게의 껍질은 멍게의 외피이며 외피 안쪽으로 내장이 있는 형태입니다.

  • 멍게는 연체동물문(Mollusca)에 속하는 무척추동물입니다. 연체동물은 몸이 연약하고 유연한 특징을 가지며, 대표적인 종류로 복족류(문어, 낙지 등), 절족류(굴 등), 환형동물류(달팽이 등)가 있습니다. 멍게는 환형동물류에 속하는데, 몸통 부분이 부드러운 살갗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위를 단단하지 않은 석회질 껍데기가 감싸고 있는 형태입니다. 이처럼 몸은 연체동물의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단단한 외골격을 가진 곤충류나 갑각류와는 구분됩니다.

  • 안녕하세요, 백찬양 전문가입니다.

    멍게는 동물계 척삭동물문 해초강 멍게과에 속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멍게는 우선 동물계 즉 동물에 속합니다.

    식물의 뿌리같은 구조물을 가지고 있어서 간혹 식물이 아닌가 생각할 수 있습니다만, 이것은 뿌리가 아닌 플랑크톤을 잡아먹기위한 수단입니다.

    유생때 바닷물에 헤엄쳐다니다가 어느정도 크면 내부기관을 다 소화시켜버리고는, 뿌리같은 구조체를 만들어 땅에 정착하고 물을 통과시키면서 그 안의 먹이를 잡아먹게 됩니다.

    유생일때는 고등동물처럼 아가미같은 기관을 갖다가 어느순간 다 없애버리고 조용히 사는 모습이 참으로 희한합니다.

    이처럼 하는 행동이 식물이 되어가는 과정으로 보여져 혼동을 줍니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들이 진화를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로 쓰이고 있다고 합니다.

  •  해조류 중에 대표적인 종류 중 하나로 해양 생물 중에서도 많은 종류가 있어요.멍게는 바다에서 자란 식물로서, 많은 해양 생물들에게 중요한 먹이원이기도 해요.멍게는 해수면에 떠다니는 형태부터 바닷속 바닥에 붙어 있는 형태까지 다양하게 발견됩니다.

  • '멍게'란 척삭동물문 해초강 측성해초목 무척추동물에 속하는 생명체입니다. 멍게는 부드러운 속살을 가지고 있으며 바깥은 딱딱한 껍데기를 가지고 있는데요, 유생일때에는 올챙이 모양으로 헤엄쳐 다니지만 성체는 바위에 붙거나 해저바닥의 흙속에 파묻혀 살기 때문에 움직이지 못하며 성체가 되면 유생일 때 지니고 있던 자신의 뇌를 스스로 자가소화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멍게는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의 경계에 있는 척삭동물문 해초강 측성해초목에 속하는 해양 생물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