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모르포스는 현재 어떤 상태인가요?
나사가 2022년에 시행한 소행성 격추 시뮬레이션 미션이었던 다트 미션은 성공적이었잖아요. 그렇게 소형우주선에 부딪힌 디모르포스 소행성은 현재 어떤 상태인가요? 이전에 비해 변한 점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다트 미션은 2022년에 나사가 시행한 소행성 격추 시뮬레이션 미션이었고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이 미션에서 소형우주선이 부딪힌 디모르포스 소행성은 현재 어떤 상태인지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디모르포스는 현재 지구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전에 비해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다만 다트 미션으로 인해 디모르포스의 표면에 약간의 충격이 있었을 수 있지만 이는 소행성의 크기에 비해 미미한 영향이었습니다. 디모르포스는 여전히 우리의 관측 대상이며 미래에도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다트(DART) 미션은 2022년에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디모르포스 소행성에 부딪힌 후, 현재 디모르포스 소행성은 이전에 비해 소행성 표면에 새로운 크레이터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크레이터 형성은 소행성의 표면 구조와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부딪힘으로 인해 소행성의 궤도나 자전 속도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2022년 성공적으로 수행된 나사의 다트 미션은 디모르포스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시키는데 성공했습니다. 충돌 이전 디모르포스는 11시간 55분에 주성 디디모스를 한 바퀴 공전했지만, 다트 우주선의 충돌 후 공전 주기가 32분 단축되어 현재 11시간 23분에 공전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충돌로 인해 디모르포스의 표면에서 암석과 먼지로 이루어진 거대한 파편이 분출되었고, 이는 소행성 주변에 밝은 꼬리를 형성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분석하여 미래에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을 막는 효과적인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다만, 다트 미션은 소행성의 궤도를 완전히 변경시키는 것이 아니라 약간만 편향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따라서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을 막기 위해서는 다트 미션과 같은 운동 에너지 충돌 기술과 더불어 다른 기술들을 함께 활용해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우주선 '다트’가 지구와 1100만㎞ 떨어져 있는 소행성 '디모르포스’와 충돌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충돌 속도는 6.6㎞/s로 마하 19를 넘었습니다. 이 충돌로 디모르포스의 공전 궤도는 이전보다 줄며 공전 시간이 10~15분 짧아질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번 실험은 지구를 위협할 수 있는 소행성을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뜨리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다트는 '쌍소행성 궤도수정시험’이란 의미의 영문 약자로,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팀과 NASA가 협력하여 만든 우주선입니다. 이 실험은 지구를 지키기 위한 '방어 시험’이었습니다. 다트는 지난해 11월 24일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으며, 지금까지 태양전지판으로 만든 전기로 이온을 분사하며 비행했습니다. 이번 충돌 이후 디모르포스의 궤도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름 170m의 디모르포스가 자신보다 큰 소행성 디디모스를 도는 공전 속도가 1% 줄며 공전 주기가 수 분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었습니다. 이탈리아 우주국의 큐브샛 '리차큐브’가 충돌 이후의 상황을 중계하며, 이탈리아우주국은 "리차큐브의 사진은 충돌 실험 이후 24시간 이내에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026년에는 유럽우주국 (ESA)이 현장 조사를 위해 탐사선 '헤라’를 발사할 예정입니다. 헤라는 디모르포스의 정확한 질량과 구성, 내부 구조와 함께 다트와의 충돌로 생긴 분화구의 크기 및 모양 등을 근접 분석할 것입니다. 한국천문연구원도 국제공동관측단에 참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