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은 무슨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나요?
우주에는 수 많은 별들이 존재하고 있잖아요?
모든 별들은 성분이 다른 건가요?
성분이 모두 다른데 어떻게 다 동그랗게 생겼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는 수많은 별들이 존재하며, 각 별들은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소와 헬륨이 주요 구성 성분인 별들도 있지만, 철, 칼슘, 니켈 등 다양한 중원소가 풍부하게 함유된 별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성분 차이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별들이 거의 완벽한 구형을 유지하는 이유는 중력 때문때문입니다 별의 중심부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중력은 별을 압축하여 모든 방향으로 균등하게 힘을 가하고, 이 힘의 균형이 유지되면서 거의 완벽한 구형을 만들어 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별들이 동그랗게 생겼다는 것은 중력과 열핵반응의 균형으로 설명됩니다. 별은 중력으로 인해 자신을 압축하려는 힘과 열핵반응으로 인해 자신을 팽창시키려는 힘이 균형을 이루면서 동그랗게 모양을 유지합니다. 중력은 별을 중심으로 모든 방향으로 인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별은 구 형태를 띠게 됩니다.
또한, 별의 질량, 압력, 온도 등도 이러한 모양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별들은 각자의 성분과 조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중력과 열핵반응의 영향으로 대체로 동그랗게 모양을 유지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성(恒星, 영어: Fixed Star) 또는 붙박이별은 막대한 양의 플라스마(또는 플라즈마)가 중력으로 뭉쳐서 밝게 빛나는 납작한 회전타원체(Oblate spheroid)형의 천체이다. 통상적으로는 별(영어: Star)이라고 부른다. 또한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은 태양으로, 지구상의 에너지 대부분을 공급한다. 그리고 지구에서 두 번째로 가까운 항성은 프록시마이다. 지구에서는 다른 별을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데 낮에는 태양 빛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항성은 그 중심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으로 풀려나는 에너지가 내부를 통과하여 방출되면서 빛을 내게 된다. 우주에서 수소와 헬륨보다 무거운 물질 대부분은 항성의 내부에서 만들어졌다. 항성은 수소 및 헬륨, 기타 중원소로 이루어진 성간 구름이 붕괴하면서 탄생한다.
출처 : 위키백과 - 항성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있어 핵융합반응을 지속적으로 일으키며 타오르는것이 항성입니다.
기체와같은 유체로 이루어진 물질들이 조합이기에, 중력의 영향을 가장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는 구형태를 유지하기위해 계속 대류하거나 움직임이 발생하고 동그랗게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