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

빈집이 늘면 왜 경제에도 마이너스 인가요?

일본의 빈집은 900만채가 넘는데 국가적으로도 엄청난 경제손실을 입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빈집이 있는것만으로도 왜 경제 손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질문해주신 빈집이 늘면 왜 경제에 마이너스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빈집이 늘면 그 지역은 슬럼화 되고 결국 그 지역의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또한 빈집이 는다는 것은 지역의 인구 소멸에도 연관이 있기에

    인구 소멸은 곧 지방 소멸로 이어지게 될 것입니다.

  • 빈집이 많아질수록 해당 지역과 같은 경우 슬럼화가 진행되고 치안이 불안정해지는 등 사회적 비용이 엄청나게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빈집으로 인하여 범죄가 발생하는 등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빈집이 지나치게 많아지게 된다면 방치된 빈집으로 인해 일본 전체의 땅값 하락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땅값 하락은 막대한 경제 손실이 발생시킵니다. 뿐만 아니라 주변 상권이 망가지게 되면서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방치된 빈집이 일본 전체의 땅값 하락으로 이어져 막대한 경제 손실이 발생하자 일본 정부가 나서 빈집을 철거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빈집 철거 전문업체 클라소네에 따르면 방치된 빈집이 10만채 늘면 1조5000억엔(약 13조원) 가량의 경제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에 일본 정부는 비거주 주택에 과세를 매겨 빈집이 방치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위험에 처한 주택은 강제 철거에 나서는 등 특단의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빈집이 늘면 일단 주변 주택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면 전반적으로 소비가 둔화되고, 경제의 활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 빈집이 많으면 경제 손실이 발생하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는데. 첫째, 빈집이 관리되지 않으면 주변 환경이 나빠져서 지역의 부동산 가치가 하락합니다. 둘째, 빈집은 범죄나 안전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가나 지방 정부가 빈집을 관리하고 유지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듭니다.

  • 안녕하세요

    • 집은 사람이 안살면 폐허가 되는데 하나의 아파트에 30%가 빈집이라고 생각하면 그 단지의 인기는

      그만큼 떨어지고 빈집의 비율은 더욱 올라가며 가속화 됩니다.

    • 현재 일본도 그렇고 우리나라의 지방도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 한 두 가구의 빈집을 시작으로 사람이 안살다 보니 인프라도 줄어들고 인프라가 없으니 빈집이

      늘어만 가고 있고 이러한 동네는 슬럼화가 될 수 있기에 정부의 관리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 빈집이 없이 사람들이 들어가 살아야 여기서 재산세 등 세금을 내고, 관련 공공요금을 내어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빈집이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어떻게 보면 '국토의 낭비'이니 경제적으로도 손실일 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