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먹이사슬 최상위 포식자의 수는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아무래도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라고 하면 누구도 건드리지 못해서 개체수가 늘어날것 같은데

알고 보면 그렇게 많이 늘어나지 않던데 왜 그런지 궁금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사실 생존을 위한 것입니다.

    사실 생태계에서는 에너지 흐름은 그다지 효율적이지는 않습니다. 생산자가 태양 에너지를 받아 유기물을 만들면, 1차 소비자는 이 에너지의 약 10%만 흡수하고 나머지는 배설, 호흡 등으로 손실됩니다. 마찬가지로 2차 소비자는 1차 소비자의 에너지 중 약 10%만 얻습니다. 이렇게 최상위 포식자는 이보다 더 적은 에너지를 얻게 됩니다.

    그래서 높은 영양 단계를 차지하는 최상위 포식자는 생존을 위해 많은 양의 먹이를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에너지 효율 때문에 먹이 사슬의 아래 단계로 갈수록 생물체의 총 에너지 양이 훨씬 많기 때문에, 최상위 포식자가 충분한 먹이를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즉, 먹이가 부족하면 생존과 번식에 제한이 생겨 개체수 증가가 어려운 것이죠.

    게다가 대부분의 최상위 포식자는 다른 동물에 비해 번식 속도가 느리고 한 번에 낳는 새끼의 수도 적습니다. 임신 기간이 길거나 성 성숙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개체수가 빠르게 증가하기 어렵죠.

    그 외에도 행동권의 영역다툼 등으로 인해서도 개체수 증가가 쉽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최상위 포식자라도 해도 생태계의 법칙을 벗어날 수 없습니다. 피라미드 위로 갈수록 먹이도 줄어들고 에너지 전달도 줄어들기 때문에 마음껏 늘어나지 못 합니다. 또한, 최상위 포식자들은 일반적으로 임신 기간이 길고, 출산 새끼 수가 적고 양육 기간이 길기 때문에 번식력이 낮습니다. 감사합니다.

  • 먹이사슬 최상위 포식자의 수가 늘어나지 않는 주된 이유는 생태계 자원 한계와 먹이 부족 때문입니다. 이들은 생태계에서 가장 위에 있지만 먹이 동물의 수가 제한적이라 개체수가 자연스럽게 조절됩니다. 또한 영역성이 강하고 번식률이 낮으며, 새끼를 키우는 데 시간과 에너지가 많이 들어 번식 속도도 느립니다. 결국 생태계는 이들의 수를 자동으로 조절하며 균형을 유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