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물가가 계속 오르는데 이럴땐 돈을 쓰지 않는게 좋을까요?

현재 우리나라 경제를 보면 물가가 너무 많이 올라 마트나 편의점에서 물건을 살때 너무 부담이 많이 됩니다. 차라리 저축을 계속 하는게 가계 경제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좋은 답변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경제로부터 자유을 꿈꾸다
      경제로부터 자유을 꿈꾸다

      우쿠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이슈로 곡물가격 및 원유가격 상승과 미국의 금리인상등으로 소비자물가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현금이 많은 사람들의 금리인상에 따른 자산가치가 증가할것이고 대출등이 많은 사람은 좀더 어려워지는 빈부격차가 심화되는데요.이처럼 금리인상은 불가피해보이지만 원유가격 및 곡물가격 상승은 러시아의 하루빨리 종전선언이 되어서 원상대로 흘러가길 바랄뿐입니다. 코로나 장기여파로 경제활동침체에서 코로나해지에 따른 경제활동등 소비활동이 증가되는 싯점에서 금리인상 및 전쟁이슈로 경제여건이 힘들어지고있는데요.인플레이션도 원인에 따른 종류가 다양한데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것이 경제관점보다는 개인별 소비차원에서 현기준에서는 그것이 올바르다고 생각되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상승하는 시기에 현금은 성과가 부진합니다. 기업의 주식은 현금보다 가치를 더 잘 유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주식의 인플레이션 방어력은 여러 요인에 의해 좌우됩니다. 인플레이션은 평균 이상으로 상승하는 반면 경제 성장률은 둔화되는 스태그플레이션 기간에는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면서 원자재, 금, 부동산, (공개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투자상품인) 사모자산을 포함한 기타 대체자산에 비중을 배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