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용감한나방218
용감한나방21823.11.04

소리는 음파와 같은 뜻인가요? 또 소리는 반사가 잘 될수록 잘 들ㅈ리는 건가요?

1)소리는 벽에 부딪혀 반사가 잘 될수록 잘 들리는 건가요? 2) 성대에서 소리가 나오면 공기매질에 부딪혀 반사가 되기고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소리는 공기와 같은 매질을 통해 전파되며, 이 매질에 있는 장애물에 부딪혀 반사되며 반사된 소리가 귀에 도달하면 그 소리를 듣게 됩니다.

    하지만, 성대에서 소리가 나오는 원리는 조금 다릅니다. 성대에서 소리가 나오는 과정은 성대 진동과 공명이라는 두 가지 요소가 관련됩니다. 성대 진동은 폐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통과하면서 울리게 하여 소리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소리는 그 후 입 밖으로 나가기 전에 성대 위에 있는 공간을 거치면서 변형되고 확성되는데, 이 과정을 공명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소리가 공기 매질을 통해 전파되고, 귀에 도달하면 우리는 그 소리를 듣게 됩니다.

    따라서, 성대에서 나오는 소리가 공기 매질에 부딪혀 반사되는 것이 아니라, 성대에서 만들어진 소리가 공기 매질을 통해 전파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소리가 장애물에 부딪혀 반사되어 우리의 귀에 도달하면 우리는 그 소리를 듣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소리는 벽이나 다른 개체에 부딪혀 반사될 수 있습니다. 벽과 같은 고체 표면이나 다른 개체에 부딪히면 소리 파동은 반사되어 다시 돌아옵니다. 이러한 반사는 소리의 에너지를 다시 방향으로 전달하며, 이로 인해 소리가 들리게 됩니다. 벽과 같은 단단한 표면은 대부분 소리를 잘 반사시키기 때문에, 벽에 부딪힌 소리는 다른 방향에서 오는 소리와 함께 들리게 됩니다.

    또한, 성대에서 소리가 발생할 때도 공기매질에 부딪혀 반사가 일어납니다. 성대는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만들어냅니다. 이 진동된 공기 파동은 주변 공기와 부딪혀 반사되고, 이 반사된 소리 파동이 다시 공기를 통해 전파됩니다. 이러한 반사와 전파 과정을 통해 소리가 전달되며, 우리가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