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 근육통이 있어요 어떻게 하면 나아질 수 있을까요?
21년도에 어느날 입이 안벌려졌어요
턱관절은 아니고 근육통이 문제다 악물지말고 근육이완제 먹으라해서 괜찮아졌습니다.
추가로 보톡스를 맞으니까 원상복구 됐어요.
그 뒤로 보톡스를 맞고 4개월이 지나면 다시 턱이 뻐근해졌는데요. 입이 안벌어지는건 아니에요. 단순히 뻐근..
이갈이가 있어서 스플린트를 맞추고 4개월이 됐습니다.
턱을 벌릴때 미세한 소리가 있는데 턱관절 환자들이 흔히 말하는 딱딱 소리 아니고 모래갈리는 소리도 아니에요. 그냥 진짜 미세하고 내가 신경 안쓰면 모를정도( 요즘 제가 턱에 예민해서...) 그러면 턱관절이 문제가 아니라 그냥 제가 예민해서 이런 소리도 신경쓰는 건가요?
스플린트는 치과대학병원에서 검사받고있는데 턱관절에 문제있단말씀은 안하셨어요 (ct를 따로 찍진 않았지만 제 턱을 만져보시고 개구량도 측정하세요)
자세가 매우 안좋고 (진심 앉으면 몸이 c자임..)
등에 근육이 없어서 턱에 무리가 가고, 잘때 이를 가니까 교근에 힘이 가해져 턱근육통이 있지 않나 생각이 드는데 의사선생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실제로 자세 엄청 안좋게 있는 날은 턱이 진짜 뻐근하고
바른자세로 있으면 덜 뻐근해요
그리고 21년 12월부터 6개월에 1번씩 국산보톡스를 맞았습니다. 총 4번인것 같아요
근데 최근 5월에(4번째) 보톡스를 맞았는데 효과가 없었습니다. 내성이 생긴걸까요?
병원이 공장형이라 여러사람이 베드에 누워있고 사람 순서대로 놓긴 하셨는데 제대로 못놓으신건지 아니면 내성이 생긴건지 의문이에요.
참고로 턱근육이 가장 뻐근한건
1. 차에 앉아있을때 (가끔)
2. 공부할때(항상/ 보톡스 맞으면 괜찮음)
턱근육이 덜 뻐근해지는거
1.운동할때 (가끔 덜뻐근해지는 느낌)
2.말할때
3.먹을때
4.누워있을때 (근데 몸 굽은상태로 누우면 뻐근함)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턱근육이 굉장히 과긴장되어 있는 상태이신거 같습니다. 보톡스를 너무 자주 맞게 되면 내성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병원보다는 대학병원 구강내과를 다니시는게 더 좋을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