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안과 이미지
안과건강상담
안과 이미지
안과건강상담
단단한꽃무지106
단단한꽃무지10622.05.30

다른 증상 없는 어지러움증이 있습니다.

나이
24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카디브정
기저질환
고혈압

이틀 전 저녁? 어제? 부터 약간 괜찮다가 우웅 하고 어지럽고 다시 괜찮다가 어지러운 약간 숙취같은 어지러움 증상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 (아침에 약간 속도 울렁거림) ( 원래 아침은 안먹고 점심은 1시 넘어서 먹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약간 초점도 반박자 늦게 맞는 느낌?

딱히 뭔가 아프다던가 그런건 없고 그냥 왼쪽 머리만 오른쪽 보다 살짝 무거운 느낌이 있고 왼쪽 눈 까지 약간 더 피곤한? 무거운? 느낌이 있습니다. 시야가 흔들리는 흐린? 느낌이 있습니다 머리를 딱 잘라서 왼쪽만

근데 또 밖에 나가서 뭔가를 한다던가 하면 어지러움을 못 느끼는 거 같은데 집에서 컴퓨터를 한다던가 할 때만 그런 거 같기도 합니다. (거북목이라 그런가요 ㅎㅎ..?)

이유가 있을까요? (혈압 관리는 잘 됩니다.)

최근 한달 간 계속 집에만 있고 컴터만 하고 헬스하고 공원 산책 다닙니다.

일 그만둔지 한달이 되어가서 생활패턴이 무너져서 그런지 어제 저녁엔 잘 때 잠도 오래 누워있다가 잠들었습니다.

원래는 머리만 대면 자는 스타일인데 말이죠..

한달 전 일 다닐 때만 해도 느낀 적 없는 증상입니다.

한 3주전에도 한번 이러더니 좀 불편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어지러움증의 원인은 크게 소뇌의 문제인 중추성 혹은 전정기관이라 불리는 달팽이관에서 발생하는 말초성 현훈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중추성 병변은 주로 뇌졸중 등으로 인한 뇌혈관 질환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젊은 나이대에서는 흔하지 않습니다. 전정기관에 문제가 생기는 말초성 현훈은 주로 이석증이나 전정기관염, 메니에르 병등에 의해서 발생하며 이비인후과, 신경과 등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누워있다가 갑자기 일어나면서 심하게 현기증을 느낀다면 기립성 저혈압을 감별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일시적으로 뇌에 있던 혈류가 중력의 영향으로 아래로 향하면서 이를 혈관 수축등을 통해 보상하는 과정이 약해 혈류가 부족해짐으로 인해서 어지러움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심장내과등에 내원하시어 진료 및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안구의 초점이 안맞고 복시가 있으면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과진료를 권장해드립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6.01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어지러운 증상은 여러가지 원인이 가능합니다. 이석증이나 전정신경염일 경우 갑자기 서있기 힘들 정도의 어지러움이 발생합니다.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아 보시면 됩니다. 그 외에 뇌에 문제가 있어도 어지러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뇌쪽에 경색이나 출혈이 있다면 균형감각에 이상이 생기면서 어지러움이 유발됩니다. 이럴 때는 신경과에서 진료를 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어지러움증의 원인은 다양한 것들이 있습니다. 질문하신 내용만으로는 정보가 부족합니다.

    뇌신경문제, 귀의 문제, 심장의 문제, 전신질환의 문제

    각 질환을 배제하고 진단을 하기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에 방문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영상검사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어지럼증의 원인을 찾아봐야 될 것 같습니다만..혹시 고개를 돌릴 때 어지럼증을 느낀다면 또한 구역감이 유발된다면 이석증일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필요하지요.


  • 안녕하세요.

    실제로 두통이나 어지럼증 등은 질병으로 인한 경우 보다는 식습관이나 생활 습관의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최근에 일을 쉬고 집에서 있는 시간이

    늘어나고 수면 패턴에 변화가 생기면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보입니다. 특히 야간에 수면

    시간이 늦어지거나 잠을 자는 시간이 적은 경우 쉽게 나타날 것으로 보여 자기 전에

    운동이나 책을 읽는 등 일찍 자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서원 의사입니다.

    편두통이 있을 시에 편측에 국한된 통증과 더불어 어지럼증, 구역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시아장애와 같은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편두통에 대한 임상적인 진단을 위하여 가까운 신경과의원에 가보시길 권해드립니다.


  • 안타깝지만 말씀하시는 내용을 토대로 어지럼증의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없으며 특정한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증상이 반복된다면 중추신경계 이상부터 시작하여서 어지럼증 원인을 최대한 찾아보셔야 하겠습니다. 신경과에서 정밀 검사를 받아보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어지러움에 대해서는 전정기관의 문제와 신경과적인 문제를 확인해야합니다.

    보통은 전정기관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이비인후과를 먼저 방문하는게 맞는데 이야기 해주신걸 보면 작성자분은 신경과 진료를 먼저 받아보시는게 더 적절해보입니다.

    신경과에서 원인이 없다고 하면 이비인후과 방문하시는게 맞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