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 반응속도 질문있습니다!!
화학반응식 2NO(g) + O2(g) -> 2NO2(g)가 있다고 할 때 반응속도가 NO에 대하여 2차, O2에 대하여 1차라고 나와있다고 하면요.
이것을 보고 (NO의 소멸속도) = 2x(O2의 소멸속도) 인 것을 알 수 있고
반응속도 = k(속도 상수) x [NO]^2 x [O2]인 것을 알 수 있잖아요.
이 때 k(속도 상수) x [NO]^2 x [O2]을 의미하는 '반응속도'는 NO의 소멸속도를 의미하는 건가요 아니면 O2의 소멸속도를 의미하는 건가요??
NO의 소멸속도와 O2의 소멸속도가 다른 것은 알겠는데, 반응속도의 공식인 k(속도 상수) x [NO]^2 x [O2]은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NO의 소멸속도를 의미하는지 O2의 소멸속도를 의미하는지요..
안녕하세요.
반응속도의 공식 k[NO]²[O₂]를 통해 구할 수 있는 '반응속도'는 화학 반응의 진행 속도를 나타내며, 이는 모든 반응물과 생성물에 적용됩니다. 하지만, 각 반응물의 소멸 속도는 반응식에서의 계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화학 반응식 2NO(g) + O₂(g) → 2NO₂(g)에서, 반응물 NO와 O₂의 소멸 속도는 그들의 계수와 반응 속도식의 비율로 결정됩니다. 반응 속도식을 구할 때 각 반응물의 농도에 대한차수가 사용되는데, 이 경우 NO는 2차, O₂는 1차 반응물로 나타납니다.
반응속도식 Rate = k[NO]²[O₂]는 반응 전체의 진행 속도를 나타내며, 이는 특정 시간 동안의 반응물의 소모 또는 생성물의 형성 속도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k'는 속도 상수입니다.
반응식에서 NO와 O₂의 계수는 각각 2와 1입니다. 이는 반응 동안 NO가 O₂보다 두 배 빠르게 소모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NO의 소멸 속도가 O₂의 소멸 속도의 두 배 입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NO의 소모 속도: -d[NO] / dtO₂의 소모 속도: -d[O₂] / dt
반응 속도식에 따르면, 2 x (O₂의 소멸 속도) = (NO의 소멸 속도)이며, 이는 반응속도식 k[NO]²[O₂]으로 계산한 '반응속도'가 NO의 소멸 속도를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 식을 통해 계산된 값은 반응 전체의 속도로, 모든 반응물의 소멸과 직접 연결되어 있습니다.
요약하면, k[NO]²[O₂]는 반응 전체의 속도를 나타내며, 특히 이 반응에서는 NO의 소멸 속도를 기준으로 설정할 때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된 값입니다. NO와 O₂의 소멸 속도 비율은 각각의 계수에 의해 결정됩니다.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