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른장마가 이어지다 집중호우가 내리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정말 오랜만에 비를 보는 것 같습니다.
비가 내리는게 무서울 정도네요.
마른장마가 이어지다 집중호우가 내리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한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마른장마는 비가 적게 오는 장마로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이나 정체로 인해 발생합니다. 그러다 고기압이 약해지고
저기압이나 태풍이 유입되면 갑작스런 집중호우가 내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극단적인 날씨 변화는 기후 변화와 관련이
깊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대기 중 수증기가 많아지면서 강수 강도가 세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마른장마와 집중호우의 반복은 기후 변화의 한 단면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마른 장마가 이어지다가 집중호우를 내리는 이유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정체로 인해 저기압이 한반도를 지나 강한 비를 내리게 되며, 이는 대기가 불안정해 지면서 고기압이 밀려나지 않고 두 기압 차이로 수증기가 발달된 경우입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와 마른장마가 반복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앞으로 기후변화가 가속화 된다면 더 자주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 집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마른장마가 이어지다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현상은 기후 변화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마른장마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평년과 다르게 확장하거나, 우리나라 북쪽 상공에 찬 공기가 정체하는 블로킹 현상으로 인해 장마전선이 남하하면서 비가 오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후 집중호우로 전환되는 것은 대기 불안정, 수증기 수렴대, 지형 효과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으로 뜨겁고 습한 공기가 유입되고, 이것이 상층의 찬 공기와 만나 대기가 매우 불안정해지면 짧은 시간에 강한 비구름대가 형성되어 국지성 집중호우를 유발합니다. 이러한 강수 패턴의 변화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온 차 감소와 블로킹 현상 증가 등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