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정중한날다람쥐151
정중한날다람쥐151

하품이 전염된다는 것은 얼핏 비과학적인 것 같지만 직접 경험해보면 진짜인것 같아요?

질문자체가 비과학적인것 같지만 저도 수없이 경험해서 이젠 과학이라고 생각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같이 있는 누군가가 하품을 하면 꼭 저도 하품을 하거나 주위 분들이 하품을 하는 것을 많이 봐 왔거든요.

그런데 이게 어떤 원리로 전염이 되는지는 아직도 모릅니다.

공명작용같은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튼튼한라마20
      튼튼한라마20

      하품은 전염성이 강하다. 피곤하지 않더라도 주변에서 하면 따라하게 된다. 이는 동물에서 흔히 나타나는 ‘메아리 현상’으로 그동안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런데 조지나 잭슨 영국 노팅엄대 정신건강연구소 교수팀이 그 이유를 뇌에서 찾았다.

      연구팀은 성인 36명을 대상으로 하품을 참을 때 뇌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실험했다. 참가자들에게 각각 하품을 하는 영상을 보여주면서, 경두개 자기자극술(TMS)로 뇌 운동 피질의 흥분도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 개인차가 있지만 보통 하품을 참으려고 할수록 뇌 운동 피질의 흥분도는 증가했다. 또 운동 피질에 전기 자극을 가하면 하품 충동이 커졌다. 이는 운동 피질의 흥분과 억제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하품이 조절된다는 뜻이다.

      출처 :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19888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하품은 하품을 하는 사람을 보았을 때 활성화되는 거울뉴런의 활동에 의해

      뇌의 일차운동영역에 전류가 흐를 때 반사적으로 행동이 촉발되는 과정을 통해 전염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하품이 전염되는 것은 원시적 뇌 반사와 관련되어있다고 연구한 발표자료가 있습니다.

      반향 증상은 하품과 같은 전염성이 있는 움직임을 뜻합니다.

      즉, 다른 사람이 하품을 하는 것을 보면 따라서 하품을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공명작용은 외력에 의한 것이거요. 진동에 대한 과학입니다. 하품이 전염된다고 하는것은 실제로는 잘못된 것이고요. 전염이라기 보다는 하품이 나오는 환경에 같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졸린 환경) 그래서 하품이 전염된다고 오해를 하는거죠.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하품이 진짜 전염되나요?


      연구 결과 전염되는 거라고 합니다.



      막 옆에사람이 내 공기까지 빨아들여서 내 공기가 부족해서 덩달아 하품하는 건가요?


      공기 부족 때문은 아니고요.



      하품이 전염되는 비율은 45~60% 정도 되지만, 서로 간의 호감도, 교감 정도에 따른 것이지 확실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