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어디고
어디고

무역수지가 흑자라고 다 좋은건 아니라는 애기를 들었습니다

무역수지가 흑자라고 모든게 다 좋은건 아니라는 말을 들었는데 왜그런가요? 흑자면 이윤이 남았다는 애기인데 좋은건데 그개 다는 아니라고들 하더라고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무역수지가 있다. 수지(收支)란 수입과 지출을 일컫는 말로, 무역수지는 일정 기간 동안 총수출액과 총수입액의 차액으로 구합니다 무역수지는 수출 또는 수입하려는 물품이 우리나라의관세선을 통과하는 시점, 즉 수출입 신고수리일을 기준으로 수출입을 계상하는데 수출가격 책정 시 본선인도가격(Free On Board: FOB) 조건을, 수입 가격 계산 시 운임, 보험료 포함 가격(Cost, Insurance and Freight: CIF) 조건을 기준으로 합니다.

    그러므로 무역수지가 흑자란 말은 수출이 수입보다 많다는 것이지만 우리나라의 무역 구조상 원자재의 수입이 줄어 들어 생긴 무역 수지 흑자는 연결적으로 수출의 감소를 이끌수 있어 무조건 좋은 시그널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무역수지가 흑자가 난다는 것은 수입보다 수출이 많다는 의미이며, 무역수지 흑자가 지속되면 해당 국가의 통화 가치가 상승하게 되어, 해외 시장 경쟁력이 약화되고, 수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이러한 영향을 더욱 심각하게 받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흑자는 무역 상대국과의 갈등을 야기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무역 수지는 수출과 수입의 비중에 따라 수출이 많으면 흑자, 적으면 적자가 됩니다.

    무역수지가 흑자라면 외화수입이 많기 때문에 국가에 이익이 됩니다.

    다만, 최근 무역수지가 흑자의 세부지표를 확인해보면 수출은 감소하였는데 수입이 더 많이 감소하여 무역수지가 흑자를 기록한 적이 있습니다.

    무역이 중요한 우리나라로서 무역수지는 흑자지만 수출은 불황을 겪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 한국은행에서는 경상수지 흑자는 교역 상대국으로부터 무역마찰을 야기할 수 있고, 벌어들인 외화가 자국화폐로 환전되면서 통화량의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안내한 바 있습니다.

    무역적인 부분에서 무역수지적인 부분에서 인도의 경우 지속적인 무역수지 적자를 이유로 통관에 관한 정책을 엄격하게 하고, 원산지 검증규정을 강화하는 등 여러가지 무역조치를 취한바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무역흑자는 말씀하신대로 기본적으로 좋은 상황입니다. 다만 이러한 흑자가 일시적인 착시현상이거나 혹은 과도한 흑자로 인하여 견제를 받는 경우에는 흑자여도 마냥 좋은 상황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말씀하신 듯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