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외로운뿔영양159
외로운뿔영양15924.04.08

무상증자가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는 어떤 시나리오가 있나요?

주식 시장에서 무상증자가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는 어떤 시나리오가 있나요?

또 최근에 무상증자를 한 사례로는 어떤 주식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상증자의 경우에는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누적이익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전환하여 주주들에게 주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은 호재로 인식을 하게 되요. 최근 무상증자를 하였던 기업으로는 스튜디오미르, SNT에너지, 세경하이테크등과 같은 기업들이 있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무상증자는 주당 가격이 하락하기 때문에 거래량이 늘면서 일반 개인 투자자들에게도 관심이 가게되고

      매매가 증가하면서 주당 가격이 상승하는 호재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최근에는 스튜디오미르라는 업체가 무상증자를 통하여 주가 반등 호재를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상증자가 주가에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1. 기업의 자금 사정이 넉넉한 경우

    - 유상증자를 할 필요 없이 내부 유보금으로 무상증자를 실시

    - 추가 자금 조달 없이 주주가치 제고 기대

    2. 투자/사업 확장을 위한 신규 자금 조달 용이

    - 무상증자로 주식수 증가 → 유상증자 시 더 많은 자금 조달 가능

    - 기업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

    3. 주가 부양 목적

    - 주가가 낮아 실제 기업가치에 미치지 못할 때 무상증자 실시

    - 주가 방어 및 주식 분할 매력도 향상 기대

    4. 배당 확대 기반 마련

    - 주식수 증가로 배당금 총액 확대 용이

    - 배당수익률 투자자에게 긍정적 영향

    최근 무상증자를 단행한 기업으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모비스, LG디스플레이 등이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경우 투자 확대 및 주주가치 환원 차원에서 무상증자가 이뤄졌습니다.

    하지만 무상증자가 항상 호재인 것은 아닙니다. 기업의 실적, 현금성 자산, 향후 계획 등에 따라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상증자는 잉여금이 자본금 전입 등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호재로 봅니다. 잉여금은 기업이 쓸 수 있는 돈이지만, 자본금은 쓸 수 없는 돈이기 때문에 그만큼 현금흐름에 자신있다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상증자와 같은 경우에는 보통

    재무적으로 건전한 기업이 가능하기에

    무상증자 자체를 호재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상증자에 대해 말씀드리면, 주로 두 가지 시나리오에서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무상증자는 주식의 가격을 낮춰서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사기 더 쉽게 만듭니다. 이는 주식의 유동성을 높이고, 이로 인해 주가가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무상증자는 기업의 이익을 주주들과 더 많이 나눌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로 인해 주주들의 이익이 증가하고, 이는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가장 최근 스튜디오미르 라는 기업이 무상증자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상증자의 경우 1주기준 1주이상으로 크게 무상증자할 경우 호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최근 아이패밀리아이씨가 1:1 무상증자를 발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상증자가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는 기업의 자금 확보가 필요한 상황에서 주주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주지 않고 자금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구조를 강화하고 성장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무상증자로 인해 주식의 유통량이 늘어나면서 시장에서의 거래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무상증자를 한 사례로는 삼성전자가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2021년 1월에 1주당 1주를 무상증자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