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투자자들은 어떤 기준에 따라 움직이나요?
한국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매매 동향이 시장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들의 투자 전략은 어떤 기준에 따라 움직이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대형주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형성하여 단기매매보다는 중장기 투자 성향이 강한 편으로 보입니다. 또한 대기업의 실적과 글로벌 공급망의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외국인 투자자들은 어떤 기준으로 움직이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들은 철저하게 자신들의 이익에 따라 움직이게 됩니다.
사실 다른 기준이랄 것이 없이 투자자의 기준인
수익을 따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외국인 투자자중 가장 중요한 자금은 패시브자금입니다. 이들은 장기적으로 들어오는 자금이고 이에 한국의 거버넌스 환경을 가장 중요시하게 여기며 이에 따라서 한국의 상법개정과 주주환원율이 높아지고 일반주주권리가 올라가는 시점에서 대폭 수급이 들어오고 있는것입니다.
그다음은 국내 주요 섹터 대기업 그룹사들의 실적 리레이팅이 크게 장기적으로 상향되고 성장률이 가속화되는 시점에서 본격적으로 그리고 원화환율이 크게 강세인시기보다는 하락횡보시기에 들어오는 경향이 강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외국인들과 같은 경우에는
거시경제 등도 살피기도 하고
더불어서 국내 주도주들의 수급 등
여러가지를 고려하여 투자를 결정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외국인은 글로벌 금리, 환율, 경제 지표를 주요 판단 기준으로 삼습니다. 특히 환차익 가능성과 국가 리스크가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한국 시장에서는 반도체, 수출주 중심으로 환율 유리 시 매수세가 유입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경제의 거시적 전망(성장률, 금리, 환율 안정성), 기업들의 기본적인 실적과 성장 가능성, 밸류에이션을 중요한 기준으로 삼습니다. 또한, 한국 시장의 글로벌 경쟁력과 다른 아시아 시장 대비 매력도, 기업 지배구조 개선이나 투명성 확보 같은 제도도 함께 고려한다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