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우리나라의 플러그만 다른나라들과 다른 이유가 뭔가요?
미국에서 사용하는 플러그는 11자 이고
유럽쪽에서 사용하는 플러그는 우리나라랑 비슷하게 원형이지만 다리가 얇잖아요?
그에 반해 우리나라에서 사용중인 플러그는 유럽과 비슷하지만 두꺼운게 특징인데요.
해외직구를 하다보면 유럽사용플러그를 구매해도 우리나라 콘센트에 헐거우니 돼지코를 끼우게 됩니다.
왜 우리나라만 유독 두꺼운 둥근 플러그를 사용하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의 플러그가 다른 나라와 다른 이유는 플러그의 규격을 국제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각나라마다 규격이 다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플러그가 다른 나라는 다른 모양을 하고 있는 겁니다.
안녕하세요멀리 나는 참새 입니다. 해당 질문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각 나라마다 전기 안전 규격이 서로 다르다고 합니다 그리고 경제적인 이유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서로 플러그가 다르다고 하더군요
19세기 말 전기 기술이 발달하면서 각 제조업체들이 자체적으로 플러그와 콘센트를 개발했습니다. 당시에는 국제적인 여행이 많지 않아 표준화의 필요성이 크지 않았습니다.
20세기 들어 전기기기가 발달하고 국가 간 교류가 늘어나면서 호환성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06년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가 설립되었지만, 세계대전으로 인해 논의가 중단되었습니다.
1970년대 IEC가 범용 플러그에 대한 국제 표준을 발표했지만, 이미 각국에 수억 개의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어 통일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