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싼마이톱질
싼마이톱질

복리 계산은 어떻게 하는 건가요? 복리 3%와 일반 금리 3%는 얼마나 다른건가요?

포털에서 복리 계산기를 찾아봐도 제대로 딱 원하는 게 안나오는데, 일반 금리 즉 연이율과 복리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건가요? 3%라고 치면 얼마나 다른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식은 연간 이자나 배당금이 지급될경우 이렇게 받은 지급액까지 다시 재투자하여 배당이나 이자를 고려하는 형태의 계산법입니다.

    즉 정확히 말씀드리면 복리3%와 일반금리 3%는 어느정도 기간에 따라서 크게 차이가납니다. 만약 3년기준으로 한다면 단리는 연이율 3%고정으로서 100이라는 기준값을 제시하면 3년뒤 109이며 정확히 연평균수익률이 3%입니다.

    그러나 복리를 기준으로 한다면 1년뒤 100과 이자3에서 103이되고 103에서 3%를 계산하게 되므로 106이 아닌 106.09가 됩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3년뒤에는 109.27만큼의 총액기준이 됩니다.

    즉 이자총액을 계산하게되면 단리 일반은 이자총액합계9이며 복리는 9.27로서 차이가 0.27원이 나게되는 구조이며 이 기간이 길수록 이자에 대해서 재투자가 되므로 격차가 더 커지게되는원리입니다.

    그리고 종합적으로 3년기준시 복리는 연평균수익률이 3.027% 위의 일반은 3%의 연평균수익률이 됩니다

  • 복리는 이자에 이자가 붙는 개념입니다.

    연 이자의 복리는 생각보다 큰 차이는 없습니다.

    복리는 결국 이자가 재투자 되는것이기에 시드가 어느정도 클때 큰 효과가 나타납니다.

    1억을 3% 금리로 1년 예금하면 이자가 300만원(세전)입니다.

    1억300만원을 3% 금리로 1년 재예치 하면 이자는 309만원(세전) 입니다.

    1억을 월복리 3%로 1년 예금하면 이자가 3,041,596원(세전)입니다.

    2년 월복리로 예금하면 이자가 6,175,704원(세전)으로 2년차에 대한 이자는 3,134,108원 입니다.

    복리는 결국 조금 더 큰 자금을 10년 이상으로 굴렸을때 의미 있는 수준입니다.

  • 단리는 원금에만 이자가 붙고, 복리는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단순히 100만원짜리를 각각 연 3%짜리 단리와 복리 통장에 10년을 넣어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러면 단리의 경우에는 원금에만 이자가 붙기 때문에 1년간 100만원의 3%인 3만원이 1년 이자로 발생하고, 10년동안 30만원이 이자 수익이 됩니다.

    하지만 복리는 1년 후 103만원이 되면 2년 후에는 103만원의 3%인 30,900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10년이 지나면 총 1,304,773원이 되고, 이자 수익은 30만 4,773원으로 단리보다 4,773원의 수익이 더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의 계산은 이자에 이자가 붙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단리인 원금에 이자가 붙는 방식과 다른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방식이 간단하지만 복리에 비해 받을 수 있는 이자가 한정된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이에 반해 복리의 경우에는 이자에 이자가 붙으니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과정에서 붙는 수익이 더 크다곱 ㅗㄹ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복리의 이자를 지원하는 곳이 있따면 이에 대한 신청을 하시는 것도 좋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라는 것은 이자로 받은 금액이 재투자 됩니다.

    예를 들어 이자가 월 10%일 경우 100원을 예치하면 10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이는 한달이 지나면 110원이 되는것이죠. 원금이 이자때문에 100원에서 110원이 되었기 때문에 다시 110원 기준으로 이자 10%하면 11원이 이자가 발생합니다.

    금리는 월 10%로 동일했는데 복리로 인해 원금이 바뀌면서 다음달 이자액이 커지는 것이죠.

    복리의 개념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 계산은 원금뿐만 아니라 이자에 이자가 붙는 방식으로 공식은 A=Px(1+r)^t 입니다. 단리는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으로 공식은 A=Px(1+r+t) 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원을 연 3% 10년간 예치할 경우, 단리는 130만원, 복리는 약 134.4만원이됩니다. 복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에 이자가 더해져 단리보다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복리 계산은 어떻게 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복리란 말 그대로 이자에 이자를 더해 주는 것입니다.

    다만, 이 복리를 계산하기 위해선 복리가 더해지는 주기가 정확해야 합니다.

    매일 이자가 붙는 것에 대한 복리인가 아니면 매주, 매달 단위로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 금리는 일반적으로 1년을 주기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