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

우리나라 성씨 증 공씨는 공자후예?

아주 드물게 사람들중에 공씨가 있던데 공씨는 공자의 후손이라고 알고있습니다. 공씨가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넘어온 역사적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자의 53세손 공완(孔浣)의 둘째 아들

    공소(孔紹)가 원나라의 한림학사로서 1351년(충정왕3) 공민왕비인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를 배행하고 고려에 들어와 귀화하여 평장사(平章事)가 되었으며, 이어 회원군(檜原君)에 봉해지고, 창원(昌原)을 사적(賜籍)

    받음으로써 창원 공씨(昌原 孔氏)의 시조가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자의 후손중 한명인 공소가 1351년 고려로 이주한것이 그 시초로

    고려의 문하시랑평장사로서 회원군해 봉해져 공씨가 한국에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공씨는 한국에서 게속 번성하며 다양한 분파를 이루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곡부 공씨는 동이족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로, 공자의 후손 중 1351년 고려에 동래하여 문하시랑평장사로 회원군에 봉해진 공소를 동국파의 시조로 합니다.

    공씨의 시조인 문선공 공자의 본명은 구, 자는 중니로 중국 노나라 추읍에서 출생했습니다. 공자의 53세손 공완의 둘째 아들 공소가 원나라의 한림학사로서 1351년 공민왕인 노국대장공부를 배행하고 고려에 들어와 귀화하여 평장사가 되며 회원군에 봉해지고 창원을 사적받음으로 창원 공씨의 시조가 되었습니다.

    중시조 공소의 본명은 소였는데, 이는 고려 제 4대 광종의 이름과 같아 이를 피하여 소로 개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