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를 잡겠다면서 금리 인상을 막는 이유는 뭔가요?
금리를 동결하거나 내리면서도 물가를 잡을 수 있는건가요? 전기 가스요금 떠올라서 하반기에 물가가 다시 한번 오르는건 아닌가싶어서 걱정이 크네요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동결하면서 인플레가 어는 정도 잡히고 있으며
여기서 더 올리게 되면 가계부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은은 지금 금리에서 발생한는 상황을 지켜보고 향후 추가여부를 결정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미 물가는 전년대비 3%대로 평균적인 수준으로 회귀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를 더 올릴 필요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과도한 인플레를 잡기위해 금리인상을 무리하게 진행하면 경기침체 및 스테그플레이션의 우려가 있기때믄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동결하거나 내리면서 물가를 잡기는 쉽지는 않지만 작년부터 계속된 금리인상으로 물가상승률이 하락하긴했습니다
금리상승으로 인한 대출금리 상승으로 가계부담도 커져서 금리인상을 더 하긴 쉽지 않은 상황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작년부터 우리나라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도 있지만 달러환율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 금리인상을 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지난 코로나시기 20%이상의 대출금액 상승과 변동금리 비율이 92%이상이 되다보니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경제주체들의 부실화 우려가 증가하고 부동산경기가 침체되면서 미분양이 증가하게 되면서 PF대출의 부실화 우려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인플레이션 억제를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부채로 인한 경제위기 가능성이 높아서 금리인상을 최대한 억제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도 미국처럼 물가를 올려야하지만 가계,기업 부채가 너무 많아 자칫 금리를 급격히 올리다가 경기침체로 빠질수 있어서 선뜻 못올리고 있습니다. 다행히 환율이 크게 상승하지 않아 금리를 안올려도 물가가 안정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선 최근에 금리를 동결한 것은 일시적일수도 있으나 물가가 3%대로 다른 국가대비 안정적으로 내려왔으며, 무역적자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고, 자영업 비중이 높고, 자산 비중이 부동산으로 집중 되어 있어 더이상의 금리인상은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생각하여 내린 결정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반기 다시 물가가 반등할 가능성 또한 완전히 없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 금리를 동결하면서도 한국은행 총재도 추가 금리인상으로 3.75%까지 기준금리 올리는 것에 대한 가능성이 완전히 없는것이 아니라고 시장에 메세지를 던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동결하거나 내림으로써는 물가를
잡기가 힘듭니다.
그렇기에 금리인상이 물가를 잡는 가장 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