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우리나라에서 고라니가 많이 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고라니는 우리나라에는 흔한 동물이지만, 세계적으로는 희귀한 동물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 다른 사슴류는 많지 않은데 고라니는 많이 번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라니는 다양한 환경에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도시 근처에서도 종종 목격됩니다. 고라니는 번식력이 매우 좋아 안정적인 개체 수를 유지하거나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고라니의 주요 포식자는 멸종 위기에 처하거나 이미 사라진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고라니의 개체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포식자가 적어서 그렇습니다. 다시 말해, 고라니를 사냥하고 먹이로 먹는 먹이 사슬의 위가 드물기 때문입니다. 많은 자료에 따르면, 고라니의 포식자가 많이 사라진 이유는 6.25 전쟁과 해수구제사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고라니와 같은 대형 초식동물의 천적인 호랑이가 일제시대 동안 일본인에 의해 멸종되어 천적이 없어서 과증식 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라니 고기와 가죽이 사람이 이용하기에 가치가 매우 떨어져 사람도 천적 역할을 못하기 때문입니다.

  • 우리나라에는 산과 나무가많고 곰이나 호랑이, 여우, 늑대등 고라니를 사냥할만한 포식자가 거의없어 살아가기가 편합니다.

    또한 사람이 포획하기에도 험한 산속에살고있어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생명과학전문가 이상현입니다.

    우리나라는 다른나라와다르게 산간지방이많고, 고라니를 먹이로하는 야생동물의수가 많지않아 말그대로 고라니들의 천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고라니는 우리나라에서 번식이 활발한 이유는 주로 기후와 환경 조건에 적응력이 높기 때문입니다. 고라니는 건조하고 초지대와 사막 지역을 선호하는데, 우리나라의 일부 지역은 이러한 환경 조건을 가지고 있어 고라니가 번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 한국에서는 고라니를 많이 볼 수 있지만, 사실 고라니는 멸종 위기 동물로 지정되어있습니다. 한국에 고라니의 수가 많고 개체수가 지속해서 증가하는 이유는 먹이사슬 생태계의 파괴 때문입니다. 고라니를 잡아먹는 상위포식자 육식동물의 개체수가 일제강점기 시절 해수 구제정책으로 인하여 많이 줄어든 상태이고, 고라니는 한 번에 새끼를 3~4마리 정도 낳기 때문에 그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