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헌티셔츠
헌티셔츠

이제 관세로 인한 리스크는 제거되었나요?

미국에서 상호관세를 90일 간 유예하기로 했는데요. 앞으로 우리나라의 수출 리스크나 증시에서 관세 리스크는 걱정하지 않아도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상호관세 유예는 단기적으로 수출기업의 숨통을 틔워주는 조치이지만, 향후 협상 결과에 따라 다시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특히 관세 대상 주요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 리스크가 상존하며, 증시에서도 관련 업종의 변동성이 이어질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2025년 4월 9일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로 낮추기로 한 결정은 한국의 수출과 증시에 단기적 안도감을 주고 있습니다. 코스피는 4월 10일 6.6% 급등하며 관세 충격에서 벗어난 모습을 보였고, 자동차·반도체 등 주요 수출 품목의 부담이 일시적으로 줄었습니다. 한덕수 권한대행도 이를 계기로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관세 부담을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현대차·삼성전자 같은 기업은 미국 내 투자 확대(예: 현대차 31조 원)를 활용해 협상력을 높이려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단지 90일 유예일 뿐, 철강·자동차 25% 품목별 관세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어 수출 리스크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

    장기적으로 관세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하며, 증시 변동성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트럼프는 협상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7월 8일 이후 25% 상호관세를 재부과할 수 있다고 밝혔고, 중국과의 갈등(125% 관세 vs. 84% 보복 관세)이 글로벌 공급망을 흔들며 간접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한국은 미국 수출 비중이 20%에 달해(2024년 약 1,300억 달러) 정책 변화에 취약하고, 협상 과정에서 환율이나 비관세 장벽 관련 양보를 요구받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코스피가 단기 회복했지만 4월 2일 상호관세 발표 전 수준(약 2600)을 회복하지 못했다며, 3~6개월 내 불확실성이 재점화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따라서 관세 리스크는 제거되지 않았으며, 수출 다변화와 협상 전략 강화로 대비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관세리스크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습니다.

    상호관세는 유예되었지난 기본적르로 10%의 관세은 시행이 되었고 철강이나 자동차 등은 관세가 부과되었으며, 추가적인 물품들도 관세부과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따라 관세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