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스마트팜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나요?

최근 농촌에 도입되는 스마트팜이 ICT 기술을 기반으로 어떤 환경 제어 시스템을 통해 작동하며, 실제 농가의 반응과 성과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농업에 접목하여 작물 재배나

    가축 사육을 보다 효율적이고 정밀하게 운영하는 방식의 농장을 말합니다.

    이런 스마트 팜은 노동력 절감과 품질의 균일화를 이루어 생산성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며 주변 환경 영향도 최소화시키는 기술력이라고 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스마트팜은 사실 한계가 있는 기술 입니다.

    모든 농장과 공장에 스마트팜 기술을 적용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람의 손을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센서나 자동화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스마트 팜 기술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온도와 습도를 체크하여 식물과 동물에게 맞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핸드폰과 같은 곳으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농장주가 확인 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cctv 뿐 아니라 적외선 카메라를 설치하여 동물들이 건강하지 확인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 입니다.

    실제 농촌의 인구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많은 농민들이 지원사업을 통해 스마트팜과 같은 자동화시설을 설치하고 있지만 노령화된 농촌에서 한계가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을 농업에 접목하여 작물 생육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관리하는 첨단 농업 시스템입니다. 핵심은 센서, 데이터 분석, 그리고 자동,원격 제어입니다. 먼저, 농장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온도, 습도, CO2, 토양 상태 등 작물 생육에 중요한 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합니다. 이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해 분석됩니다. 분석 결과는 작물 생육 단계별 최적의 환경 조건을 파악하는 데 활용됩니다.

    이렇게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온실의 냉난방, 환기, 차광막 조절, 관수 및 비료 공급 등이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농장주는 스마트폰이나 PC 앱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농장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직접 원격으로 제어할 수도 있습니다. 스마트팜 도입 농가에서는 여러 긍정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생산량과 작물 품질이 향상되고, 자동화를 통해 노동력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또한, 정밀한 환경 관리를 통해 물, 비료 등의 자원 사용 효율을 높여 경영비를 절감하고, 기후 변화 등 외부 요인에 덜 영향을 받아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관련 기술로 농가에서는 자동화된 비료 및 영양을 공급하고 환경을 조절하는 등 노동력과 시간을 크게 줄여 주어

    부담이 크게 줄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전기 등 에너지 공급이 늘어 나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농민들은 높은 초기 투자비용과 농산물 가격 및 수급 불안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들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