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세심한해파리270
세심한해파리270

실업급여로 월급대체해서 1년 무급근로하면 정규직을 시켜준다고 했습니다(장애인고용문제)

장애인 일자리로 참여해서 복지시설에서 근무 후 계약종료하였습니다. 이후 복지시설에서 정규직을 약속받고 실업급여로 월급을 대체하라며 1년동안 무급으로 근로했습니다

제 동생이

구청 장애인일자리에 참여하여 관할구 내에 위치한 복지시설에서 2021년 1월~12월까지 계약직으로 일을 했습니다.

계약직 종료 후 다다음년도(23년)정규직t.o가 날 경우 취업을 약속하여 2022년 1년동안 무급(실업급여6개월+무급6개월) 근로하였습니다. 또한 정규직 취업에 관련국가자격증까이 필요하다고 해서 취득도 했습니다.

이후 정규직 자리가 났으나 장애인은 정규직 취업할 수 없다고했고 다른 방안이 없어서 구청 장애인일자리에 재 참여하여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 같은 복지시설에 근무했습니다.

장애인 일자리 재참여로 계약직으로일하는 중에도 정규직 자리가 생겼으나, 어떠한 언급도 없었습니다.

현재

2023년 12월 30일 다시 계약이 종료었습니다.

그런데 복지시설에서 2~3년 후 장애인 할당제가 생길거라며 정규직 채용을 또 약속하며 6개월 실업급여+무급으로 또 1년을 일을 하라는 말을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올바르지 못한 고용관계로 간주되서

1월2일 오늘 사무실 방문 해 제안해준 내용에 대해거절을 의사를 밝혔더니 일주일동안 일을 마무리해달라고 합니다(급여에 대한 이야기는 없었습니다) 또한 “너는 다른곳에서는 실무를 하기에는 능력이 없어 취업이 어렵다.”며 모욕적인 발언을 듣기도 했습니다.


제 동생은 장애인이라 거절을 잘 하지 못하고 사람관계에 대한 어려움이 있고 혹여나 위해를 가할까 겁도 난다고 합니다.



질문입니다

  1. 지난 무급근무에 대한 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실업급여 반환해도 상관없습니다)

  2. 일반적인 생각과 취업이 힘든 장애인을 상대로한 취업사기, 장애인 모욕 등으로 민,형사 고발이 가능할까요?

  3. 같은 시설에서 피해자가 생기는 재발 방지를 위한 방법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