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

기아차가 모기업이라고 볼 수 있는 현대차를 제치고 기업순위가 올라간 이유가 무엇일까요?

원래 현기차그룹은 현대차가 항상 1위 이고 그다음 자회사인 기아차와 현대모비스로 알고 있는데요.

그런데 이번에 동생이라고 볼 수 있는 기아차가 오히려 모기업인 현대차를 제치고 기업순위가 올라간 배경이 무엇인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아차는 현대보다 영업이익율이 높습니다. 그리고 주주친화 정책이 좀 더 적극적으로 진행중이므로 현대차보다 매력도가 높다고 볼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아는 미국에서 최근 15개월 연속 전년 대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미 이달 중순 지난해 연간 판매실적을 넘어선 기아는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다음 달 현지에 출시될 대형 전기SUV EV9은 사전 예약부터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EV9은 출시되기도 전에 2024년 북미 올해의 유틸리티차 최종후보(3개 차종)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지난 2년간 괄목할 만한 성적을 거둔 기아는 미국 시장 내 핵심 브랜드로 환골탈태했다. 삼성증권이 추정한 올해 기아의 평균 판매가격(ASP‧글로벌 기준)는 3340만원으로, 현대차(3280만원)를 앞선다.미국에서의 차종별 인센티브도 현대차보다 기아가 더 낮게 형성되고 있다. 10월 2일 기준 기아 스포티지의 인센티브는 300달러로 업계 최저 수준이다. 반면 현대차 투싼의 인센티브(500달러)는 경쟁모델인 스포티지보다 200달러 높다. 기아 차종이 더 비싼데도 잘 팔리는 건 가성비로 승부했던 과거보다 브랜드 가치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는 얘기다.

    기아가 미국에서 현대차를 앞서게 된 이유로는 '리브랜딩'이 첫손에 꼽힌다. 브랜드의 상징인 엠블럼을 교체하고 사명에서 '자동차'를 떼어내는 등 과감한 리브랜딩을 통해 '싼 차' 이미지를 벗어나게 됐다는 평가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아차와 같은 경우에는 자사주 소각과 더불어서

    높은 주주배당 등을 함으로써 시장에 고평가를 받았기에

    이에 따라서 현대차를 제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주주환원 정책이 기아차가 현대차 보다 매력적인 제안을 하였고, 앞으로 실적성장

      가능성을 비교할 때 현대차 보다 기아차의 성장성을 더 높은 벨류를 측정했기 때문입니다.

    • 하지만 기아차가 현대차를 앞질렀다는 것은 현대차도 곧 큰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아차가 현대차를 제치고 기업순위가 올라가게 된 배경은 기아차가 유럽권과 미국에서 현대차보다 더 좋은 호실적을 거두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되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아차의 제품 라인업의 다양성,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 마케팅 전략의 성공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