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허리 통증이 심한데 디스크인가요?
45세 여자인데 몇일전부터 갑자기 허리가 아프더니 이제는 꼼작을 못 해요, 특별하게 다친건 없고 엑스레이상 특별한 이상은 없어요. 앞으로 어떤 치료를 어떻게 받아야 하나요? 그리고 그 원인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가능성 높습니다.
mri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xray에서 디스크는 확인이 어렵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의학박사 곽성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우선적으로 해볼 수 있는 허리 디스크 자가 진단의 방법으로 하지직거상 검사라고 하여 바로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들어올릴때 약 30-60도 구간에서 통증이 느껴진다면 허리 디스크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60도 이상의 구간에서 느껴지는 통증은 허리 디스크 보다는 근육통 및 인대가 당기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에서 허리 디스크가 의심된다면 가까운 정형외과 혹은 척추신경외과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허리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운동은 기본적으로 허리 근육과 코어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 주가 됩니다. 요근, 둔근, 복근, 사두고근 등의 근육을 훈련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데, 쉽게 말해 코어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 플랭크, 브릿지, 버드독, 크런치 등이 도움이 되며, 모두 맨몸으로 할 수 있는 운동들입니다. 단, 운동시 통증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시행해야 하며 운동중이라도 통증이나 하지 저림 증상 등이 발생시 중단하고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도움이 되는 답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허리통증의 대부분은 요추염좌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하지만 허리통증과 함께 다리까지 저리거나 통증이 뻗치는 양상이 생긴다면 추간판탈출증(디스크)일 가능성도 고려해야합니다. 무거운 것을 드는 것은 추간판탈출증에 매우 안좋은 행위입니다. 정형외과나 신경외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세요
말씀하신 증상만으로는 디스크를 의심하기 어렵습니다. 오히려 갑자기 움직이기 어려울 정도의 허리 통증이라면 염좌를 의심하는 것이 더 합당합니다. 염좌는 진통제를 복용하여 통증을 줄이고 시간이 경과하면 스스로 호전되는 경증 질환입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양측 또는 한측 하지 단측의 피부면을 따라 저린 증상이 있다면 증상으로 진단 할 수는 없지만 허리디스크의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이 디스크 또는 협착증에 의해 압박이되면 해당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신경외과 진료 후 필요시 X래이 또는 MRI를 시행하는것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허리통증의 대부분은 요추염좌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하지만 허리통증과 함께 다리까지 저리거나 통증이 뻗치는 양상이 생긴다면 추간판탈출증(디스크)일 가능성도 고려해야합니다.
무거운 것을 드는 것은 추간판탈출증에 매우 안좋은 행위입니다.
정형외과나 신경외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척추 디스크 질환 및 척추 협착증 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허리통증, 하지 방사통, 걷다가 쉬어야하는 파행의 증상을 보입니다.
다리쪽으로 근력저하나 감각저하가 있다면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무엇보다 병원 방문하셔서 신체검사 및 정밀영상검사 시행하셔서 원인을 확인하고 그에 맞게 치료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현재 증상이 허리에만 국한되어 있다면 흔히 말하는 요통이겠습니다. 요통은 허리 부위 척추와 척추 주위에 있는 구조물의 이상으로 발생합니다. 요추 및 주위 구조물의 병변으로 인해 발생하는 허리 통증이나 다리 통증, 그리고 허리의 기능 이상을 통틀어 요통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요추 부위의 정상적인 구조는 배 쪽으로 휘어지는 구조인데, 이러한 정상적인 곡선을 유지하는 것이 척추 건강에 중요하겠습니다. 만일 허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거나 무리한 동작이 가해지는 등의 원인으로 허리 디스크가 손상되면 허리를 움직일때마다 통증이 발생하는데 통증으로부터 허리를 보호하기 위해 척추 주위의 근육이 뭉쳐 허리를 움직이지 않게 합니다. 허리가 회복되면서 허리 근육의 뭉침, 통증은 사라지게 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정형외과, 신경외과, 통증의학과 등 전문의의 진료를 보시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요추 염좌의 경우 치료를 잘 받을 경우 회복이 빠릅니다. 물리치료, 도수치료, 주사 치료 등 증상에 맞게 치료를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통증이 완화 된 후에는 허리를 굽히는 동작, 무거운 것을 드는 동작 등 허리에 무리가 갈수 있는 것은 피하시고 척추 기립근을 강화할수 있는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갑자기 통증이 발생하고, 다리쪽으로의 저리는듯한 방사통이 없으시다면 허리디스크일 가능성은 떨어지며, 허리주변부 근긴장 또는 척추분리증, 전위증 등으로 인해 통증이 생겼을수도 있습니다.
우선은 휴식 및 약물치료 등으로 경과관찰을 시행해보시고 통증이 지속된다면 MRI등을 시행해 보시는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일단 허리 통증에 대해서는 원인 확인이 먼저라 생각이 됩니다. 증상으로 봐서는 척추 디스크 문제보다는 척추 주변 근육의 염좌일 가능성이 좀 더 높아 보입니다. 허리를 숙였다 펴는 과정에서 나타나기 쉽지요. 허리 디스크라면 허리 통증보다는 다리로 저리는 증상이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일단 허리를 숙이는 등의 허리에 무리가 되는 행동은 피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 가벼운 스트레칭 정도 하면서 소염 진통제 복용을 하시면 대략 1~2주 정도 지나면 괜찮아질 거라 보입니다. 통증이 계속 되면 가까운 신경외과나 재활의학과, 통증의학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