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정부가 라면 및 주류 가격 인하를 기업에 압박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가지고 계신가요?

정부가 라면 및 주류 가격 인하를 기업에 압박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가지고 계신가요? 이것이 물가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옥연 경제전문가
    김옥연 경제전문가
    (주)무궁화신탁

    정부가 라면이나 주류 가격에 대한 인하를 압박하는 것은 이러한 물건들이 서민들의 가장 큰 수요품목중의 하나이기 때문이에요. 이러한 품목들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결국 인플레이션율이 크게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물가 안정을 위해서도 그리고 원가 안정이 된 상황에서 기업들의 폭리를 막기위해서라도 필요한 정책이라고 볼 수 있어요

  • 두더지게임 같은 것이죠 하나를 막으면 다른데서 튀어나오고, 지금은 금리를 내리는 것이 먼저입니다. 남, 타국에는 수천억씩 퍼주면서 또는 시추한다고 소수의 업체에게는 수천억이상 쏟아붓고 20프로확률로 기름을 푸는 것이 좋은지 그 수천억원을 국민에게 지원으로 주는 것이 좋은 지는 말이죠 각자 다르겠지만

  • 질문해주신 정부가 라면 및 주류 가격 인하를 압박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정부가 사기업의 영역인 가격 결정권을 통제하는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보여지지만

    지금 물가가 너무 높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면도 있어 보입니다.

  • 이게 반시장주의적 이어 보이고 결국 물가가 오른 것인데 영향이 있을까? 싶기는 한데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 영향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가격은 한 번 오르면 쉽게 내려가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농산물이나 에너지 가격 같은 것은 급하게 올라갔다가 또 내려가기도 하는 항목입니다. 이런 급변하는 요소들을 반영해서 가격을 울릴 경우에 다시 내리기 어렵기 때문에 최대한 다양한 요소가 반영이 됐을 시점에 천천히 올리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은 사람들의 기대에 의해서도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최대한 정부에서 압박을 하고 실제로 몇몇 물품의 가격을 최대한 늦게 오르게 만드는 것도 사람들의 물가 상승 기대감을 낮춰서 실제 물가상승을 낮추기도 합니다

  • 라면과 주류와 같은 경우 서민들의 상당히 많이 애용하는 것이기에 이에 따라서 이것들의 가격이 인하된다면 물가 안정에 기여하는 측면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