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ELS상품 발행사 기준으로 수익구조가 어떻게 되나요?
els 상품은 투자자 입장에서
수익과 손실 구조를 이해하고 있습니다다.
발행사는 어떻게 수익을 만드는지 궁금합니다.
6개월 후 90이상으로 조기 상환했다면
발행사는 100보다 낮은 90에서 어떻게 수익을 만들 수 있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발행사 입장에서는 해당 금액을 주식과 채권 등에 투자합니다.
상환 전까지 6개월이라는 기간에도 주식이나 채권의 가격변동은 있기 마련입니다. 그 기간 안에서 수익을 내고, 낸 수익을 모아서 투자자들에게 제공합니다.
특히, ELS 운용 트레이더들은 1~2%의 가격 변동에도 주식과 채권의 자산 비중을 재조정하고 매일 매일 수익을 내기 위한 거래를 하면서 수익을 내게 됩니다. (금융 공학적 측면으로 고가매도 저가 매수의 방법 활용)
이렇게 모인 수익을 통해서 쿠폰을 지급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와 관련하여는 파생상품의 구조를 이해하셔야 됩니다.
정확하게 설명드리기는 어렵습니다만, 발행사는 ELS 발행시에 기초자산의 변동폭과 ELS투자원금 보유에 따른 헷지 전략을 수립합니다.
이에 따라, 통상 50%하락할때까지는 수익이 어느정도 유지되는 구조의 상품을 짜는 것입니다.
그러나, 50% 이상으로 하락하는 경우에는 파생상품의 마진콜이 발생하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