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에서 말하는 추상적 사고, 구체적 조작기에서 이루어지는 사고에 대해서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에서 추상적 사고가 가능한 시기는 형식적 조작기라고 나오는데 피아제의 인지발달에서 추상적 사고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이며 구체적 조작기에서 이루어지는 사고는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피아제가 말하는 추상적 사고는 융통성 있는 사고, 효율적인 사고, 복잡한 추리, 가설을 세우고 체계적으로 검증하는 일, 직면한 문제 사태에서 해결 가능한 모든 방안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는 일 등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시기가 되면 아이들은 처음으로 도덕적, 정치적, 철학적인 생각과 가치문제 등을 이해할 수 있고,타인의 사고과정도 이해가 가능합니다. 또한 다른 사람들은 문제를 어떻게 보고, 어떻게 생각할까 등의 문제에도 관심을 갖게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구체적 조작기에서의 사고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구체적인 문제에 대해서 논리적 사고가 가능하게 되고, 특정사실에 따라 사물을 분류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의 아동은 사물을 위계에 따라 분류하는게 가능해지게 된다고 합니다. 더불에 양,무게! 부피에 대한 보존 개념이 활성화된다고 합니다.
1명 평가추상적 사고의 경우 아이가 직접 경험하지 않더라도 결과를 도출할수가 있십니다
예를들어 a=b=c 라는것을 b를경험하지 않아도 추론으로 a=c라는것을 도출할수있는것입니다.
1명 평가피아제의 형식적 조작기에 획득하는 능력으로는 추상적 사고, 가설연역적 사고, 조합적 사고를 들 수 있습니다.
피아제의 추상적 사고란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관련성까지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일컽습니다.
예를 들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라는 속담을 제시했을 때 구체적 조작기 아동은 말 그대로 소잃고 외양간 고쳤구나 라고 생각하지만 형식적 조작기 아동은 이 속담에 숨어 있는 비꼬는 의미를 알아 챌 수가 있습니다.
가설연역적 사고란 현상에 대해 연역적, 체계적으로 여러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는 자료를 수집하여 문제 해결에 도달하는 사고를 말합니다.
예들 들면 반드시 이것이어야만 되며 그렇지 않으면 안되는 것, 즉 A 이기 위해서는 B여야 한다로 추론하는 것입니다.
조합적 사고란 문제해결을 위해 문제 해결에 필요한 요인들을 조합하는 사고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장롱 위에 있는 물건을 꺼내기 위해 창고 있는 사다리를 가져다가 장롱 앞에 사다리를 설치하고 올라가서 꺼내는 이런 과정을 생각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피아제의 구체적 조작기는 피아제의 네 가지 주요발달단계 중 세번째 단계에 해당됩니다.
7~8세 에서 부터 약 11~12세 까지 계속되는데 이 단계의 특징은 아동의 구체적인 문제들 또는 구체적인 의미에서 쉽게 상상될 수 있는 사물이나 문제들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즉, 아동은 인과관계에 대한 일련의 추리를 할 수 있게 되며, 분명하게 관찰할 수 있는 물량의 변화에 대해서 보존의 개념을 형성하게 됩니다. 그러나 구체적 조작은 순수하게 추상적인 내용에는 적용될 수 없습니다.
1명 평가추상적사고
1.구체적이지았고 형상적이지않은것
2.막연한대상없는사고
구체적사고
1.형상이있는것
2.직관적인것
참고바랍니다
1명 평가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에서 추상적 사고는 구체적인 사물이나 사건을 넘어서서 개념이나 이론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인간의 감정'이라는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이론을 적용하여 상황에 맞는 감정을 판단하는 것이 추상적 사고의 예입니다. 구체적 조작기에서 이루어지는 사고는 구체적인 사물이나 사건을 조작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사과'라는 구체적인 사물을 조작하고, 그 크기나 무게를 비교하거나, 다른 사물과 비교하는 것이 구체적 조작기에서 이루어지는 사고의 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