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붉은연어
붉은연어

우리나라에 정착한 외래종들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30년전만 해도 대표 외래종인 황소 개구리가 있습니다. 지금은 외래종 수가 너무 기하 급수적으로 많아져서 다 외우기도 힘듭니다. 어떤외래종들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표적으로 강이나 호수에 배스와 블루길 등이 정착해버렸습니다. 이들은 작은물고기들을 모조리먹어치우고 우리나라 토종들의 개체수를 크게 감소시켰습니다.

    또한 뉴트리아들고 강 하구에서 크게번성했지만 이들은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많이 줄였다고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한국에는 배스와 블루길이라고하는 물고기들이 적응해서 살아가고있고, 뉴트리아나 황소개구리, 가시박등 다양한생물들이 정착해있습니다.

  • 우리나라에 정착한 대표적인 외래종에는 황소개구리 외에도 뉴트리아, 붉은귀거북, 블루길, 큰입배스 등이 있습니다. 뉴트리아는 하천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붉은귀거북은 번식력이 강해 토종 거북의 서식지를 위협합니다. 블루길과 큰입배스는 하천과 호수에서 토종 어종을 잡아먹거나 경쟁하여 생태계를 변화시키는 주요 외래 어종입니다. 이 외에도 가시박, 돼지풀과 같은 외래식물이 강가나 농경지를 빠르게 덮어 우리 식물의 생육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우리나라에 정착한 외래종은 황소개구리, 미국선녀벌레, 꽃매미, 뉴트리아, 가사박, 블루길, 배스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국에 정착한 외래종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지금도 지역 생태계에 큰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주목 받는 몇몇 외래종을 말씀드리면, 가장 대표 격으로 황소개구리(bullfog), 배스(bass)가 있고, 가시박(Dodder), 너구리(Raccoon), 솔잎혹파리(Pine Gall Midge), 세이블피쉬(Snakehead) 등이 있습니다.
    황소개구리는 익히 알려져 있듯이 미국에서 유입된 개구리입니다. 크기가 크고 번식력이 강해 기존의 양서류와 수중 생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주로 먹이 경쟁과 질병 전파 등을 통해 기존 생태계를 위협합니다. 배스의 경우 북미 원산의 물고기입니다. 한국의 담수 생태계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배스는 기존에는 식용으로 국내에 도입되었다가 자연 방생된 경우입니다. 원 생태계의 물고기들과 경쟁하고, 소규모 어류 및 다른 수생 생물을 먹이로 삼아 그들의 개체 수에 영향을 미치는 악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가시박 또한 북아메리카 원산의 식물로, 다른 식물에 기생하여 그 식물의 수액을 흡수함으로써 생존합니다. 이 식물은 주로 농작물에 기생하여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며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마찬가지로 북미 원산의 너구리는 일부 지역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너구리는 다양한 서식지에서 살 수 있는 능력과 먹이를 선택하지 않는 잡식성으로 인해 지역 생물 다양성에 해를 끼치고 있습니다. 솔잎혹파리의 경우 해충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소나무 잎에 혹을 만들어 소나무의 성장을 저해합니다. 장기적으로 소나무림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해충입니다. 동남아시아에서 유입된 세이블피쉬의 경우 한국 내 생태계에서 이 물고기가 토착 물고기와의 경쟁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