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국일수록 PIR지수가 높은 이유가 뭔가요?
PIR지수는 연평균소득을 반영한 주택을 구입하는데 드는 시간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언뜻 생각했을 때 선진국일수록 PIR지수가 높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반대이더군요. 그렇다면 어째서 후진국일수록 PIR지수가 높은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ir은 소득대비 주택가격지수로 후진국은 gdp가 낮고 소득이 적어 pir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IR지수는 주택의 가격을 가구의 연소득으로 나눈 값으로돈을 한 푼도 쓰지 않고 저축 한다면 몇 년 뒤에 집을 구매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잘 사는 나라일수록 대도시 중삼으로 PIR지수가 높은데, 그 이유는 잘 사는 나라의 대도시의 주택은 수요가 매우 높은 반면 공급은 한정되어 있고, 부유층들이 대도시로 유입되면서 가격 성승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후진국과 같은 경우 그만큼 임금 자체가 상당히 낮은 등 이에 따라서
PIR 지수가 높은 경우가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PIR 지수는 연평균소득으로 주택을 구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선진국보다 후진국에서 PIR 지수가 높습니다.
후진국에서 PIR 지수가 높은 이유:
1. 낮은 소득: 후진국의 경우, 평균 소득 수준이 낮아 주택 구입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2. 높은 주택 가격: 후진국의 경우, 빠른 도시화와 인구 증가로 인해 주택 가격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3. 부족한 주택 공급: 후진국의 경우, 주택 공급 부족 문제가 심각하여 주택 구입 경쟁이 치열합니다.
4. 금융 시스템 문제: 후진국의 경우, 주택담보대출 등 주택 구입을 위한 금융 시스템이 잘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5. 불안정한 경제 환경: 후진국의 경우, 경제 환경이 불안정하여 주택 투자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IR(Price-to-Income Ratio) 지수는 주택 가격을 평균 연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주택 구입이 소득 대비 어려워집니다. 후진국에서 PIR 지수가 높은 이유는 주택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비해 소득 수준이 낮기 때문입니다. 후진국에서는 주택 시장이 과열되거나 부동산 투기가 높아서 주택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PIR 지수가 높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후진국일수록 PIR지수가 높은 이유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후진국일수록 연평균소득이 다른 나라에 비해서 현저히 낮기 때문에
주택 구매를 위해 들어가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즉, PIR지수가 높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IR지수의 경우 연소득이 적을수록 주택 구입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데, PIR지수가 경제가 한단계 업그레이드될때, 즉 후진국-> 중진국->선진국 등으로 갈때 그 과도기에 수치가 급등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국가의 수준이 고등화되고 정착화되면 안정화되면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게 되요. 이는 경제가 고도화되는 과정에서 서민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지지 않다가 사회가 정착 발달하면서 소득이 올라가 그래도 집값을 따라잡는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