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초등학교에서 시험 대신 수행평가가 증가하는 이유는?

요즘 초등학교에서는 옛날처럼 시험 20-25문제 보고 맞은 갯수로 학생을 평가하기 보다는 수행평가를 많이 보고 있는데 왜 그런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은창덕 보육교사
    은창덕 보육교사
    라인평생교육원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시험을 보는 건 책을 읽고 지식만 습득하는 것이기 때문에 교육적으로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실기라고 할 수 있는 수행 평가를 통해 지식과 실기를 합해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이죠

  • 안녕하세요.

    지필 평가로 인하여 아들의 학습 부담이 커지고, 스트레스 등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결과 중심의 평가라는 점에서 과정 중심으로 평가하고자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수행평가는 학생의 이해도와 창의적 사고를 평가하며, 협동과 실생활 적응 능력을 중시하는 교육 방향에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수행평가는 학생의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을 평가할 수 있어, 전인적 성장에 더 효과적입니다. 협동과 참여를 강조하는 교육 방향에서 변화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초등학교에서 시험보다는 수행평가가 많이 이루어지는 이유는 단순히 계산/암기 보다는

    개개인의 다양한 사고력과 능력을 평가하고 얼마나 이해 하였는지를 평가합니다.

    이는 발표 수업, 과제, 토론 수업 등을 통해서 평가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수행평가는 이해력, 사고력, 문제해결력을 평가해 단순 암기보다 깊이있는 학습을유도하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