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편안한영앙129
편안한영앙12923.05.15

미국이 디폴트위기까지 오게된 계기가 먼가요?

현재 언론에서 미국이 디폴트위기까지 오게되었다고 하는데 여기서 디폴트위기가 오게될위험에 가장 주된원인은 무엇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부채한도협상 실패에 따른 결과입니다.

    공화당은 바이든의 재정감축을 요구하였고 민주당은 그렇게는 못하겠다며 싸우는 거죠.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디폴트의 원인은 다양하게 존재하며 대표적으로 지속적인 경기침체, 예산으로 감당 안 되는 부채(무역 등으로 생긴), 정치적 갈등, 그리고 재정관리부실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채를 발행할 수 있는 한도인 부채한도에 관해 현재 논의 중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채 한도떄문이죠. 의회에서 부채 한도 연장 승인을 안해주면 쉽게 말해서 빚을 다 값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현재까지 재정수지의 적자에도 불구하고 국채를 발행하여 미국내의 화폐 유동성을 높여 경제성장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국제 기축통화이다 보니 세계에 달러의 유동성 공급을 위해서라도 지속적으로 달러를 발행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달러발행을 통한 경제 성장의 유지의 경제체제는 국채를 추가로 발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발행하였던 국채의 이자나 원금을 지급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그럼 미국의 디폴트라는 채무불이행에 따른 국가부도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선 미국의 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은 2008년에 발생한 금융위기 이후에 양전완화 정책을 지속하면서, 국채발행을 지속하였고 2020년 코로나 위기 당시에 이러한 완화정책이 절정에 이르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미국 정부 디폴트 위기의 원인은 미국 연방정부의 부채 한도 증액에 대한 합의가 지지부진하면서 미국 정부 디폴트 (채무불이행) 우려가 증폭된 탓입니다. 이는 미국 정부의 부채 한도를 초과하는 채무를 갚을 수 없게 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우 지속적인 정부 적자를 부채한도를 늘려 국채발행을 통해 유지하였으나, 최근 그 부채 규모가 한도에 다달아 부채한도를 상향하지 않고서는 미국정부의 디폴트가 발생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급격한 금리인상과 더불어서

    미국과 같은 경우 기축통화국으로 끊임없이

    달러를 발행하여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