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검사 추가검사는 왜하는걸까요?
팔에 결절이 있는데 2019년12월에 발견되었으며 가끔 가려움을 느끼는 정도의 증상만 있습니다.
MRI판독상 결절성근막염이라고 했지만 정확한 진단과 가려움으로 고생하고 있어 수술을 하였고 조직검사결과가 일주일 후에 나온다고 했는데 결과 나오는 날 전화로 병리과에서 필요상 추가검사를 해야되서 일주일정도 (휴일이 많이 있음) 시간이 더 소요된다고 통보받아 불안한 마음에 질문을 하게되었습니다.
추가검사를 어떤 경우에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추가 검사의 경우, 특수 염색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결절성 근막염의 경우
Sarcoma 등 악성 종양과 감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주일 만에 결과가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부분 특수 염색을 통해 악성 종양과 감별을 하기 때문에
일주일 이상의 기간이 필요한 것이 사실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조직검사 결과는 짧게는 수일내로 나오기도 하지만 전처리 후처리 과정이 많은 경우 그 기간은 길어질 수 있습니다. 추가 검사를 하는 경우라면 특수한 염색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 시일이 더 걸릴 수 있습니다. 일단은 검사 결과가 나올때 까지 기다려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덕 의사입니다.
현미경으로 조직을 보는데요
조직에 따라 염색이 달리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특수 염색을
통해 더 세밀한 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병이 따라 염색의 종류가 다르고
다시 슬라이드를 제작하기 위해 용액에 고정하고 하는 과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정해진 기간 내에 검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정확한 결과를 위해 결과 날짜가 밀릴 수 있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병리과에서 추가 검사를 해야 한다는 정보만으로 정확히 그 이유를 알 수는 없지만 기본적으로 하는 조직 검사에서 결과가 애매하여 더 정밀하게 조직을 검사 해보아야 하는 경우나 조직검사에서 결과가 좋지 않아 확실하게 확인하기 위해서 더 검사를 해 보아야 하는 경우 등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조직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하기 위해서 다양한 염색 방법이 존재합니다.
그 염색 방법에 따라서 추가로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주일 더 걸린다고 말씀하신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서원 의사입니다.
병리과에서 추가검사를 하는 경우의 수는 어러개 있으므로 어떤 이유라고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검체가 잘못되었을 가능성, 검사결과가 아직 안나온 것의 가능성, 추가적인 염색검사가 필요할 가능성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