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흑두루미
흑두루미23.05.12

우주에서 블랙홀이 생기는 과정이 궁굼 합니다

우주에 존재하는 블랙홀은 어떤 과정을 통해서 생기는 걸까요?

블랙홀 안으로 들어가면 실제로 시간 여행을 할수 있는 건지도 궁굼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홀은 대량의 별이 말단 단계인 슈퍼노바라고 불리는 폭발적인 사건을 경험한 후 형성됩니다. 대량의 별은 핵융합 반응으로 에너지를 생성하다가 연료 고갈로 인해 중력에 의해 압축되기 시작합니다. 이 압축은 블랙홀의 전구체인 중성자성으로 알려진 물질을 형성합니다. 중성자성은 놀라울 정도로 높은 밀도와 질량을 가지며, 원자핵이 서로 압축되어 전자가 원자핵로 다시 흡수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중성자성이 지속적으로 압축되어 극도로 강한 중력장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쉽게 표현하자면, 별이 죽고 난 다음 행성 입니다.

    별 종류에 따라서 제각각 다르지만 초신성. 즉 별이 폭발한 거랍니다.태양보다 훨씬 큰 행성이 초신성이 되면서

    점점 찌그러 지다가 중력이 너무 세서 더더욱 수축하게 되어서 블랙홀이 된다는 것 하나, 원시 우주가 생성 될때 큰 폭발(빅뱅)이 일어나서 생성 되었다는 두가지 설이 있습니다.

    블랙홀과 화이트홀을 이용해 시간여행이 가능하다는 것은, 질량보존의 법칙을 만족하려면, 블랙홀로 흡수된 물질이 바로 화이트홀로 나와야 가능합니다. 즉, 웜홀과 화이트홀이 언급되던 당시, 블랙홀로 흡수된 물질은 웜홀을 통해 순식간에(시간이 거의 흐르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화이트홀로 나와야 합니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생각하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홀은 매우 큰 질량을 가진 항성이나 중성자 별이 끝나는 과정에서 형성됩니다. 이 과정에서 핵융합 반응이 중지되면 별은 중력 붕괴를 일으키며, 별의 질량이 충분히 커지면 더 이상 중력을 이길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이때, 별의 중심에서는 중력이 아주 강해져서 별의 질량을 한 점으로 모으게 됩니다. 이렇게 질량이 모인 지점을 싱귤래리티라고 합니다.

    싱귤래리티 주변에는 이론상으로는 중력이 무한대로 발산하게 되어, 그 중력이 빛도 포함한 모든 것을 흡수하여 아무것도 통과시키지 않는 지역이 형성됩니다. 이를 이론물리학에서는 사건의 지평선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블랙홀은 매우 큰 질량의 항성이나 중성자 별이 끝나는 과정에서 형성되며, 놀라운 중력적 힘을 발휘하여 주변의 모든 물질을 흡수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이 평생 있는 것이아니라 오랜 기간이 지나면 형태가 변하고 서서히 소멸과정을 겪게 되는데

    소멸 과정을 보시면

    성운(우주먼지)->원시별(별의 탄생)->주계열성->백색왜성

    적색(초)거성->백색왜성

    초신성->중성자별

    ->블랙홀

    별의 크기나 질량, 밀도 등에 따라서 소명 방법이 다르구요

    크기가 큰 별이 아랫 단계의 마지막 단계로 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통상 태양보다 작은 빛나는 별들은 백생외성이 되면서 수소융합반응이 끝나면서 조용히 식어버립니다.

    하지만 아주 큰 별의 경우는 마지막 단계에서 초신성이 되는데 엄청난폭발을 일으키면서 빛을 발산합니다.

    초신성의 밝기는 우주에서 가장 밝다고 보시면 됩니다.

    초신성 폭발 이후 엄청난 밀도의 중성자 별이 되는게 보통이지만 ....

    밀도가 훨씬 강하다면 블랙홀이 되어서 주위의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것이죠.

    블랙홀은 주위의 모든 것을 빨아들 일 뿐만 아니라 빛도 흡수를 하죠.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질량 같은 것이 소멸된다는 것이 납득할 수 없기 때문에...

    블랙홀에 흡수된 물질과 빛이 "화이트홀"을 통해서 배출 된다는 가설을 세우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홀은 우리 태양같은 적은 질량을 가진 별 말고 매우 큰 질량을 가진 거대 항성이 최후를 맞이하여 폭발한 뒤

    중력붕괴에 의해 수축하면서 가운데 남은 물질들이 강하게 뭉쳐 만들어집니다.

    중력이 너무 강해 빛이 빠져나오지 못해 검정색으로 보이는 블랙홀이라 불리우고,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블랙홀의 강한중력에 의해 다른 지역의 중력과는 다른 시간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홀이 생성되는 과정은 별의 질량이 일정 이상 이상으로 커질 때, 별 내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과정이 중력력을 이길 수 없을 정도로 큰 질량을 가진 별 내부에 생긴 반응이 중심부에서 충돌을 일으켜서 일어나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충돌과 폭발적인 과정으로 인해 블랙홀의 중심에는 무한히 작아지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를 중심으로해서 극도로 강력한 중력장이 형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