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분야가 일부는 벌써 중국에 따라잡히고 일부는 오히려 우리가 따라잡기 쉽지않는 상황이라는데 이대로 괜찮을까요?
한때는 우리에게도 혁신은 있었고 미국등의 기초기술이 바탕이 되긴 했지만
특유의 응용력으로 반도체를 필두로하여 나름 첨단분야의 선두그룹에 서기도 했지만
벌써 중국에 경제성은 물론이거니와
기술축적이나 성과면에서 벌써 추월당하거나
역으로 쫓아가기도 바쁜 분야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데요
가장 우려되는것은 우수한 과학인재나
연구인력들의 기피현상도 드러나고 있다고 봅니다
정말 이대로 대한민국의 미래먹거리는 괜찮은걸까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이 반도체 등 첨단 산업에서 선두를 유지해왔지만, 중국의 빠른 기술 발전과 인재 유출로 위기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과학·연구 인력의 기피 현상이 지속되면 미래 먹거리 산업에서 경쟁력을 잃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연구개발 투자 확대, 인재 양성 정책 강화, 혁신 생태계 조성이 필수적입니다.
부정적으로 본다면, 이미 복싱세계챔피언 배출도 대가 끊긴지 오래입니다. 스포츠도 간당간당해보이고요
과학? 예전부터 공무원열기로 우르르모여들고 케이팝하겠다고 우르르 몰려가고 폰가게 하겠다고 우르르 몰려가고
지금은 의대만 법대만 ,, 머 이런상황이죠 바뀔일을 없을겁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반도체 현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반도체를 비롯해서 화학, 조선, 디스플레이등
많은 분야에서 중국의 치열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고
많은 분야에서 이미 추월 당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첨단 기술 분야, 특히 반도체 산업이 중국에게 추격당하거나 일부 분야에서 오히려 뒤처지고 있다는 우려는 현실적인 문제이며,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일부 분야에서는 중국의 기술력이 빠르게 향상되어 한국과의 격차가 줄어들고 있으며, 일부 범용 반도체 분야에서는 이미 중국에 추월당했다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있습니다. 특히, 중국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막대한 자본을 바탕으로 반도체 굴기를 추진하며 기술 자립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반도체 기술 기초 역량은 중국에 뒤쳐진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반면, 첨단 반도체 분야에서는 아직 한국이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안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의 반도체
기술력이 매우 높이 올라온 것이 맞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한국 반도체 기업들과 정부는 기술 혁신에 투자를 적극 해야하며, 미중 갈등 상황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중국 반도체를 사용하기 어려운 국가들에 거래처를 확보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첨단 기술 분야가 중국에 추격 당하거나, 일부는 이미 따라잡히고, 우수한 인재들의 기피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어, 앞으로의 경쟁력 확보와 미래 먹거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