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삼성과 SK하이닉스의 중국내 반도체 공장 운영 확대를 제한했는데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미중 간 기술 규제 강화 하에서 우리 나라 기업이 생산 안정성과 글로벌 공급망을 유지하기 위한 대응 전략은 무엇일까요? 지맂덕 리스크 분산을 위한 글로벌 생산 전략은 어떻게 설계 되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중국 반도체 공장 확장 막은 거 생각보다 파장이 큽니다. 당장 삼성이나 하이닉스 입장에서는 장비 반입이 제한되니까 생산 효율을 높이는 데 한계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중국 공장을 접을 수도 없죠. 이미 시장이랑 고객이 다 묶여 있으니까요. 그래서 최근 흐름을 보면 생산 거점을 나누는 방식이 많이 언급됩니다. 공급망 차원에서는 고객이 원하는 안정성이 핵심이니까 특정 지역에서 문제가 생겨도 다른 지역에서 보완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이 삼성과 SK 하이닉스 반도체 생산 장비 학대 제한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렇게 되면 아무래도 삼성과 SK 하이닉스에서 중국에서 생산되는 반도체 물량에
문제가 되어서 삼성과 SK 하이닉스의 경쟁력이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삼성과 SK하이닉스의 중국 내 반도체 공장 운영 확대를 제한하는 것은, 첨단 기술의 중국 유입을 막고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을 재편하려는 미국의 전략에 따른 것입니다. 이러한 규제는 한국 기업의 생산과 투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미국은 첨단 반도체 장비의 중국 반입을 개별 허가제로 전환함으로써,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 공장이 최신 공정으로 전환하거나 생산 능력을 확장하는 것을 사실상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이는 중국 현지 공장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는 미국의 공장을 보다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며, 대 중국에 대한 미국의 제한정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국에 대한 제재로 미국의 반도체 수출물량을 제어하려고 하는 것으로 이는 장기적으로 미국의 중국길들이기 또는 판을 중국을 배제하거나 후순위로 둠으로 인해 전략적으로 접근하자는 모양을 보이는 것을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입장도 난감할 수 잇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전략을 잘 싸야 할 것으로 보여집ㄴ디ㅏ.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 하이닉스는 중국내 시설 확장에 제한을 받으면서 공급망 분산이 불가피 합니다. 동남아, 미국 현지 투자 확대와 기술 고도화로 대응할 가능성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결국 중국내의 주요장비가 들어서지 못하면서 중국 내 생산 시설은 18나노 이하 DRAM, 128단 이상 NAND 플래시 등 첨단 공정으로의 전환이 사실상 불가능해집니다. 성의 시안 공장과 SK하이닉스의 우시·다롄 공장은 기존 기술 수준 유지나 제한적 업그레이드만 가능하며 중국 팹의 역할은 중국 내수 시장 대응용 성숙 노드 및 중간 기술 제품 생산으로만 정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국 중장기적으로 내 선단 캐패시티 증설과 동남아/미국 패키징 허브 완성, 모듈완성이 필요해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