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신용구간의 국민에게 대출해주는 상품이 시중은행이 아닌 저축은행과 지방은행 일부만 취급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정부가 최저하위구간 신용자에게 대출등을 지원해주는데요
그런데 이런 상품을 시중은행이 아닌 저축은행과 일부 지방은행만 다뤄서 접근성이 매우 떨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저신용구간의 대출의 경우에는 1금융권에서는 취급하기에 부실화 우려가 높지만 정부 상품의 경우 부실화 되는 경우 정부의 보전이 있기 때문에 저축은행의 실적 개선을 통한 부실화를 조금이라도 털어내기 위함이라고 보시면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항상 해오던거로 기억합니다
저신용 가난한사람에게는 적은한도와 비싼 금리를 주고
전문직 부자들에게는 많은 한도와 싼 금리를 주죠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중은행들은 해당상품 대출대상이 최저신용대상자라 연체율 건전성관리에 부담을 느껴서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중은행이 최저신용구간 대출을 기피하는 이유는 높은 부실 위험과 수익성 저하, 정부 규제 우회 유인, 사회적 책임 인식 부족 등 때문입니다.
반면 저축은행과 지방은행은 상대적으로 높은 예대금리차와 지역밀착형 금융 추구로 저신용자 대출에 적극적이지만, 과도한 고위험 대출 쏠림으로 인한 부실 위험도 안고 있습니다.
시중은행의 중금리 대출 확대에 이어 저신용 대출 시장에서도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기대되며, 정부 차원의 유인책 마련과 지역 금융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금융 소외계층의 접근성을 높여나가되 금융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권과 같은 경우 비교적 대출의 문턱이 높은 등
이에 따라서 보다 안정성이 너무나 높기에
이에 따라서 2금융권 등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신용자와 취약차주를 위한 은행으로 만들어진 것이 저축은행이기 때문에 저축은행에서 해당 상품을 다루고 있습니다.
물론 저축은행이 1금융권에 비하여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요즘은 비대면으로도 업무처리가 가능하게끔 되어 있기
때문에 2금융권도 서비스가 괜찮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