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스포츠·운동

야구

조용한참새226
조용한참새226

프로야구 어떨 때는 터치를 해야 하고 어떨 때는 베이스만 밟으면 되고 헷갈립니다.

프로야구에서 주자를 아웃시키려면 베이스를 밟은 상태에서 글러브로 야구공을 받거나 야구공을 글러브로 잡은 상태에서 주자를 터치하면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어떨 때는 베이스만 밟은 상태에서 공만 송구 받으면 아웃이고, 어떨 때는 글러브로 주자를 꼭 터치해야 하는 것 같은데 이게 매우 헷갈립니다. 자세히 얄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프로야구에서 주자를 아웃시키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포스 아웃 (Force Out)

    - 주자가 진루해야 할 의무가 있는 베이스에 도달하기 전에 수비수가 공을 먼저 잡아 베이스를 터치하면 아웃됩니다.

    - 예를 들어 1, 2루에 주자가 있을 때 타자가 1루로 타구를 보내면, 1루 수비수가 1루 베이스를 먼저 터치하면 1루 주자가 아웃됩니다.

    2. 태그 아웃 (Tag Out)

    - 주자가 진루할 의무가 없는 상황에서 수비수가 공을 잡고 주자의 몸을 직접 터치하면 아웃됩니다.

  • 우리 나라 프로 야구 에서 터치를 해야 아웃이 되는 상황은 1루에서 2루로 도루를 할때 터치를 해야 아웃이 됩니다. 그리고 1루에 주자가 있고 타자가 공을 쳤을때도 2루에서 터치를 해야 아웃이 됩니다. 단 만루 상황에서는 터치를 안해도 자동 아웃 처리 됩니다. 마지막으로 견제를 할때도 터치를 해야 아웃이 됩니다.

  • 자세히 말한다호 해서 설명이 충분할 수 없고 오히려 더 헷갈릴테니 한 가지만 기억하세요.

    주자에게 진루의 의무 또는 귀루의 의무가 생기느냐로 판단하시면 됩니다.

    의무가 생기면 포스아웃 상황입니다.

    그 외에는 태그 상황이구요.

    • 땅볼 상황 : 내가 있는 루와 1루까지의 사이에 빈 베이스가 없다면 진루 의무가 발생하니 포스아웃 상황입니다.

    • 뜬공 상황 : 바운드 없이 공이 잡혔을 때는 원래 내가 점유하고 있던 베이스에 귀루할 의무가 생깁니다. 그래서 이때도 귀루보다 공이 먼저오면 포스상황이 됩니다.

  • 프로야구에서 가장 어려운 것 중에 하나가 터치와 주루 플레이 있습니다. 사실 이거는 쉬운 내용은 아니고 2년 정도 보시면 쉽게 이해가 갑니다. 저도 3년 차가 되었을 때 뭔가 한 줄로 정리할 수 있을 만큼 알았거든요.

    우선 베이스를 밟으면 아웃이 되는 경우는 타자가 뒤로 돌아갈 수 없는 경우입니다. 반대로 터치를 해야 하는 경우는 타자가 뒤로 돌아갈 수 있는 경우죠.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1루에 주자가 있고 타자가 공을 쳤습니다. 뜬공이 아니라면 무조건 1루 주자는 2루로 가야하고 타자는 1루로 가야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1루 주자가 뒤로 갈 수 없고 타자는 다시 타석으로 갈 수 없고 무조건 뛰어야 하기 때문에 이런 경우는 베이스만 밟아도 아웃입니다.

    그런데 반대로 1루에 주자가 있고 타자가 타석에서 공을 치지 않고 있는 경우 1루 주자가 도루를 해서 2루로 달렸습니다. 이런 경우는 1루 주자가 멈춰서 뒤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베이스만 밟아도 아웃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 인필드 플라이를 제외하곤 타자가 주루를 했을 때 갈 곳이 있다면 주루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런 경우는 몸에 태그를 해야 아웃이 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