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말끔한할미새85
말끔한할미새85

습도가 높으면 왜 정전기가 발생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겨울이 되면 습도가 낮아서 정전기가 많이 발생된다고합니다. 그럼 다른 계절에는 습도가 보통이거나 높다는건데요. 그럼 습도가 높으면 왜 정전기가 발생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정전기의 가장 큰 발생원인은 건조함이죠.

    우리나라 4계절중에 가장 건조한 시즌이 겨울이기에 정전기가 제일 빈번히 발생되는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습도가 높으면 정전기가 잘 발생하지 않는 이유는 공기중의 수분이 전기가 잘통하는 통로 역할을 해서 물체에 정전기가 쌓이지 않고, 공기중에 방전되도록 합니다. 대체적으로 습도가 60% 이상이면 정전기가 거의 발생하지 않지요.

    즉, 건조한 겨울철에는 공기중에 수분이 부족해서 물체에 전하가 쌓여 찌릿한 정전기를 발생합니다.

    그리고 다른 계절들은 습도가 높아 전하가 물체에 축전되지 않고 공기중에 방전되어버려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습도가 높으면 공기 중에 수분이 많아져서 표면에 얇은 물 분자가 막을 형성합니다 이 수분막이 전하를 쉽게 이동시켜 정전기가 쌓이지 않고 빠르게 방전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정전기가 잘 발생하지 않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습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수분이 전도성 역할을 해서 물체에 전기적 에너지가 축적되지 않고 수분을 통해 전도되어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정전기 발생이 급격하게 줄어듭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습도가 높다는 건 공기중에 수분이 많다는 것입니다. 정전기는 전자가 한곳에 마찰등으로 모여 있다가 다른 이동할수 있는 물체등이 생기면 빠르게 이동되면서 정전기가 발생됩니다. 그런데 공기중에 수분이 많으면 이 수분에 의해서 일부 전자들이 이동되어서 한곳에 모여 있지 않게 되면서 정전기가 발생되지 않는것입니다. 따라서 겨울에는 습도가 낮아서 정전기가 많이 발생되고 나머지 계절은 습도가 적당하거나 높아서 정전기가 발생되지 않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