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운날에도 습도가 낮고, 추운날도 습도가 낮아지나요?
과학시간에 공부를 하다가 문득 생각이 났습니다. 더울때는 기온이 높아서 습도가 낮아지고, 겨울에는 또 온도가 낮아져서 습도가 낮아진다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신기하게 겨울에는 정전기가 정말 많이 발생하지만 여름에는 정전기가 일어난적이 없습니다. 같이 습도가 낮아지면 건조해지고 정전기가 같이 일어나야하지 않나요?
기온이 높을때의 습도의 영향은 '여름에 습도가 높을 때 더 덥다'라고 몸소 느껴지기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여름철 온열쾌적성의 지표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불쾌지수 인데 이 불쾌지수 산정시 상대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인 습구온도를 사용 하기도 한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여름은 고온 다습하며 겨울은 저온건조합니나. 고온건조한 기후는 사막성기후로 한국에서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습도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양입니다. 따라서 여름에는 온도가 높아서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많이 발생되니깐 습도가 높고 겨울에는 온도가 낮아서 물의 증발이 거의 없어서 습도가 낮고 건조합니다. 따라서 겨울에 유독 정전기가 나는 이유는 온도가 낮고 습도가 낮아서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습도는 대기 중의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온이 낮을수록 대기 중의 수증기 포화도가 낮아져 습도가 낮아지고, 기온이 높을수록 수증기 포화도가 높아져 습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추운날에는 습도가 낮아지고, 더운날에는 습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철에는 공기의 상대습도가 낮아져서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공기가 건조해지면 정전기를 일으키는 물질인 이온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겨울철에는 실내 난방이나 외부의 난방으로 인해 공기가 건조해지는 요인도 있습니다.
반면 여름철에는 공기의 상대습도가 높아서 정전기가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공기가 충분한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으면, 이온들이 물 분자와 결합하여 중성 입자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빗방울이 내리는 등의 강수가 많아져서 공기가 촉촉해지는 요인도 있습니다.
따라서, 날씨가 건조한 겨울철에는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고, 습한 여름철에는 정전기가 발생하기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