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에서 엄청나게 시끄러운 아이들 어떻게 대처하나요?
기차에서 아이3명이 엄청나게 소리를 지르고 울고불고 난리입니다. 이럴때는 어떻게 대처를 해야 아이들 부모가 대처를 하게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이 공공장소에서 떠들고 장난을 치며 뛰어 다닌다면 아이의 부모는 아이들의 행동을 제지하고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곳으로 데리고 아이들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공공장소에소 뛰거나, 장난을 치거나, 소리를 지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이러한 행동들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는 것이 부모로써의 가장 바람직한 행동이 되겠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의 행동을 보고도 아이들의 행동을 그대로 방치하는 것은 부모님의 인성 부족의 원인이 가장 크겠습니다.
내 아이들이 아무리 예쁘고 소중해도 아이들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 짚어주고 왜 그것이 잘못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알려주면서 아이들의 행동을 바로 잡아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기차에서 엄청나게 시끄러운 아이들이 있다면 이는 확실하게 훈육을 해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공공장소에서 떠드는것이 잘못됐다는것을 인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를 아이들에게 잘 알려주시고 잘못됐다는것을 인지하도록 해주세요 이는 아이들에게 교육 차원에서는 아주 중요하며 아이들이 성인이 되어서도 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길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주변에 역무원이 있거나 한다면 이야기를 하도록하는것이 좋으며 너무 시끄럽다면 부모에게 이야기를 하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이 부모에게 정중히 다가가 상황을 설명하며 "조금만 조용히 해주실 수 있을까요?"라고 요청해 보는 게 좋을 듯 해요. 만약 개선되지 않으면 기차 승무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기차에서 시끄러운 아이들로 인해 불편함을 겪고 있을 때, 대처 방법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여러 가지 접근법이 있습니다. 특히 아이들의 부모가 대처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한데 때로는 부모가 반응하지 않거나 상황을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 주변에 앉아 있는 다른 승객들도 불편함을 느끼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럴 때는 함께 조용히 의견을 나누고, 부모에게 정중히 말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우리가 다 같이 불편해하는 것 같아요"라는 느낌을 주면 부모가 더 신경을 쓸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계속해서 시끄럽게 울거나 떠드는 경우,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시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헤드폰을 착용하거나, 음악이나 오디오북 등을 들으면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다른 승객들이 이에 대해 공감하면, 상황을 더 잘 견딜 수 있을 것입니다. 아이들이 시끄럽게 구는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감정을 자제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입니다. 아이들에게도 부모가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존중을 바탕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처를 한다면 어느정도 주변 승객들이 이해를 하는 방법이 되지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들ㅢ 소란이 다른 승객에게 불편을 줄 수 있지만, 중요한 점은 상대방 부모에게 불편을 전달할 때 예의 있게, 협력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입니다. 부모가 대처하지 않으면 기차 승무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마지막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소란을 피우는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반응하기보다는 침착하게 상황을 판단하세요. 아이들이 울거나 시끄럽게 굴 때는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부모가 그 이유를 잘 파악하고 아이들을 다룰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부모한테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부모들의 대처가 미흡하다면,
기차 관계자에게 이야기 해서 조치를 취하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에게 조심스럽게 다가가 "아이들 소리가 커서 불편한데, 조금만 조용히 해주실 수 있을까요?" 라고 정중히 요청하세요.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에게 정중히 다가가 "아이들 소리가 조금 커서 불편한데, 조용히 해주실 수 있을까요?"라고 부탁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