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6.29선언이 무엇인지가 궁금합니다.
현대사로보면 1987년6.29선언이 있었다던데 어떤내용인지가 궁금합니다. 혹시 아시는 전문기님 계시면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29선언은
노태우가 선언한 특별한 선언이라고 합니다.
1987년 6월 29일 대통령 후보였던 노태우 민주정의당(약칭 민정당) 대표위원이 당시 국민들의 민주화와 직선제 개헌요구를 받아들여 발표한 시국 수습을 위한 특별선언을 말합니다.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인단’이라는 단체에서 뽑는 간접 선거제였습니다. 이는 전두환을 비롯한 군부 세력의 정권 연장에 용이한 수단이었습니다. 1987년 6월 대통령 직선제를 주장하며 대규모의 민주화 시위가 벌어졌는데, 유력한 대통령 후보였던 민주 정의당의 노태우가 이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10월 27일 국민 투표가 실시되어 대통령 직선제 · 대통령 5년 단임제 · 지방 자치제 · 국회 단원제 등을 기초로 한 새 헌법이 제정되었다. 12월 16일 대통령 선거에서 노태우 후보가 당선되어 1988년 2월 제6공화국이 출범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5.18 민주화 운동을 폭력으로 진압하고 탄생한 전두환 정부는 8차 개헌으로 대통령 7년 단임제를 규정하였지만 간선제였습니다. 5공화국 내내 독재 정치로 일삼자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운동이 확산되었습니다. 정부는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등 폭력으로 민주화 운동과 개헌 요구를 탄압하였습니다.
그런데, 전두환 대통령이 직선제 개헌 금지를 핵심으로 하는 1987년 4.13 호헌 조치를 발표하자 '민주 헌법 쟁취 국민 운동 본부'가 결성되고 민주화 시위가 확산되어 가던 중에 대학생 이한열이 경찰의 최루탄에 맞아 뇌사 상태에 빠졌습니다. 민주 헌법 쟁취 국민운동 본부는 국민 대회를 개최해 범국민 민주 항쟁을 선언하였고, 전국 각지에서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습니다(6. 10.). 강력한 탄압에도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계속되자, 이에 굴복한 전두환 정권은 노태우를 통해 직선제 개헌 요구를 수용한다는 선언을 발표하습니다(6. 29.) 그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첫째, 여야 합의하에 조속히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하고 새 헌법에 의해 대통령 선거로 1988년 2월 평화적 정부 이양을 실현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민은 나라의 주인이며, 국민의 뜻은 모든 것에 우선하는 것입니다. 둘째, 최대한의 공명정대한 선거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셋째, 극소수를 제외한 모든 시국 관련 사범들은 석방되어야 합니다.
6.29 선언을 통해 시민이 평화 시위를 통해 군사 독재를 끝내고, 평화적 정권 교체를 마련하였습니다.(9차개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29민주화선언은 1987년 6월 29일 대통령 후보였던 노태우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이 당시 국민들의 민주화와 직선제 개헌요구를 받아들여 박표한 시국 수습을 위한 특별선언으로, 전두환 대통령의 도덕성, 정통성 결여를 지적하는 직선제 개헌요구와 전두환으 4.13 호헌조치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에서 나온 선언입니다.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는 대규모의 가두집회로 대항,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이 터지면서 경찰력이 마비되고 군대 투입설까지 나오는 국면이 전개, 이에 노태우는 8개항의 민주화 조치를 발표, 이로써 신군부의 군사독배를 청산하는 전기가 마련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