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1305852
1305852

배달의민족이 최혜대우를 요구했다고 하는데 최혜대우가 몬가요??

여러 갑질을 하고 있다며 공격받고 있는 배달플랫폼 업체 배달의 민족이 최혜대우를 요구했다는 논란이 있다고 하는데 최혜대우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배달의 민족의 최혜대우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혜 대우란 예전에 무역 관련해서 나오는 용어로

    특정 나라에만 혜택을 주지 않고 다른 나라와 동등한 대우를 하는 것을

    최혜 대우라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만약 배민이 수수료를 올리더라도, 가게들이 배민에서 판매하는 음식 가격을 바꾸지 못하게 하는 조건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최혜대우 요구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가 온라인 플랫폼 이용사업자에게 자사 온라인 플랫폼 상에서 거래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 등 거래 조건을 다른 유통 경로에서 거래하는 가격 등 대비 동등하거나 더 유리하게 적용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다른 사람이 받는 혜택을 나에게도 똑같이 해주거나 더 잘 해달라고 하는 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최혜대우란 한 계약 당사자가 특정 계약 조건을 다른 경쟁사보다 더 나은 조건으로 적용받을 권리를 요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배달의민족이 최혜대우를 요구했다는 것은, 가맹점이나 협력업체들이 다른 배달 플랫폼보다 배달의민족에 더 유리한 조건을 제공해야 한다는 요구를 했다는 뜻입니다. 이런 요구는 배달의민족이 시장에서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 경쟁사보다 우월한 조건을 받으려는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최혜대우는 협상 과정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한 기업들이 종종 사용하는 방식이지만, 그로 인해 협력업체들에게 불리한 조건이 강요되거나 경쟁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는 협력업체나 가맹점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으며, 경쟁사와의 관계에서도 불공정하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배달의민족이 최혜대우를 요구했다는 논란은 이러한 맥락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협력업체들에게 과도한 요구로 비춰질 수 있기 때문에 논란의 대상이 된 것입니다.

  • 최혜대우(최고 혜택 대우)는 특정 계약이나 거래에서 한 쪽이 다른 쪽에게 제공하는 최상의 조건이나 혜택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비즈니스 관계에서 사용되며, 한 기업이 다른 기업이나 거래 상대방에게 자신이 다른 고객이나 거래처에 제공하는 것보다 더 유리한 조건을 요구하는 경우입니다.

    배달의민족이 최혜대우를 요구했다는 논란은, 아마도 자사와의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배달 라이더나 가맹점에 대해 타사에 비해 유리한 조건을 보장받으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가 "갑질"로 비판받는 이유는, 기업이 자신의 영향력을 이용해 불공정한 조건을 강요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논란은 종종 플랫폼 기업과 그 파트너 간의 권력 불균형을 반영하며, 소비자나 소상공인들 사이에서 불만이 제기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최혜대우(最惠待遇)란 '최고의 대우' 또는 '최고의 조건'을 의미하는 용어로, 주로 계약이나 거래에서 한 쪽이 다른 쪽에 대해 가장 유리한 조건을 제공해야 한다는 원칙을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최혜 대우라는 것이

    여러가지 관계 등에 있어서

    다른 곳들에 비하여 최고의 대우를

    해주는 것을 말하니 참고하세요.

  • 최혜대우란 어떤 계약에서 나에게 가장 좋은 조건을 달라는 요구를 말합니다.

    배달의민족이 음식점들에게 최혜대우를 요구했다는 것은 음식점들이 다른 배달 플랫폼보다 배달의민족에 더 나쁜 조건을 주지 않도록 하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다른 배달 앱에 더 낮은 수수료를 준다면 배달의민족에도 똑같이 낮은 수수료를 줘야 한다는 요구입니다.

    이런 요구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음식점들이 다른 배달 앱과 더 좋은 조건으로 계약하기 어려워져서 공정한 경쟁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최혜대우라는 것은 배민의 수수료가 높으니까 다른 배달앱보다 음식 가격을 더 높게 받을 수 없게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했다는 것입니다

    • 이렇게 되면 배달가게 입장에서는 같은 음식을 팔아도 배민에서는 팔고 싶지 않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최혜대우는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가 플랫폼 이용 사업자에게 자사 플랫폼에서 거래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 등 거래조건을 다른 유통경로와 비교해 동등하거나 더 유리하게 적용할 것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좁은 최혜대우와 넓은 최혜대우로 구분됩니다.

    좁은 최혜대우는 해당 온라인 플랫폼과 이용사업자가 운영하는 자체 유통경로 간의 경쟁만을 제한하는 반면, 넓은 최혜대우는 타 온라인 플랫폼을 포함한 모든 유통경로에서의 경쟁을 제한할 우려가 있어 경쟁제한성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됩니다. 배달의민족과 같은 플랫폼 업체가 이러한 최혜대우를 요구하면 입점 업체들의 가격 결정 자유를 제한하고 경쟁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혜대우 요구가 항상 부정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이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 이용 사업자가 플랫폼 사업자의 판촉노력 등에 무임승차하는 것을 방지하고 거래관계에 특화된 투자를 촉진하는 경우 효율성 증대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혜대우 요구의 영향을 평가할 때는 이러한 긍정적 효과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혜대우'는 한 기업이 입점 업체들에게 다른 경쟁 플랫폼과 동일하거나 더 좋은 조건으로 가격이나 혜택을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걸 의미합니다.

    배달의민족은 경쟁 배달 플랫폼들과 동일한 가격 정책을 유지하도록 입점 업체들에게 강요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는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조사 중이며 다른 플랫폼들과의 공정한 경쟁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배달의민족은 경쟁사의 먼저 도입한 정책에 대응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