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털코뿔소는 왜 학명에 '속이 빈 이빨'을 뜻하는 코엘로돈타(Coelodonta)가 붙었나요?

옛날 빙하기 때 매머드(Mammoth)와 큰뿔사슴인 메갈로케로스(Megaloceros), 원시초원들소(Steppe Biaon)이랑 함께 살았던 초식동물인 털코뿔소가 있었잖아요.

학명에 '속이 빈 이빨'을 뜻하는 코엘로돈타(Coelodonta)가 붙어있었어요.

털코뿔소의 이름이 왜 코엘로돈타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털코뿔소의 학명인 Coelodonta는 '속이 빈 이빨'이라는 뜻으로, 이는 털코뿔소 어금니의 독특한 구조에서 유래했습니다. 털코뿔소의 어금니는 마모된 면에 깊은 홈이 파여 있는데, 이러한 특징 때문에 고생물학자들이 그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 학명은 털코뿔소의 치아 구조적 특징을 직접적으로 반영한 것입니다.

    1명 평가
  • 털코뿔소의 학명인 'Coelodonta antiquitatis'에서 'Coelodonta'는 그리스어로 속이 비어있다는 'koilos'와 이빨을 뜻하는 'odous'에서 유래하여 '속이 빈 이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털코뿔소의 어금니 구조가 함몰되어 있는 특징 때문입니다.

    1831년 지질학자 '하인리히 게오르그 브론'이 털코뿔소의 치아를 살펴보았을 때, 현대 코뿔소의 치아와 달리 큰 공동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 독특한 치아 구조 때문에 털코뿔소는 'Coelodonta'라는 속명을 얻게 된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