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윤자매아빠
윤자매아빠23.03.31

우박이 내리는 원리는 정확히 무엇인가요?

우박이 내리는 원리는 정확히 무엇인가요?

비가 내리거나 눈이 내리는 것은 이해를 하겠는데...

하늘에서 얼음이 떨어지는 것은 좀 이해가 안되네요;;

하늘의 기온이 엄청 낮아져서 비가 얼음으로 바뀌어 떨어지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14

    안녕하세요. 흐드러지게핀꽃밭146입니다.

    포화상태가 되면 질량이커져서 낙하하기시작하는데 그 때 상층의 온도가 일정이하면 응결되어 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투명한숲제비211입니다.

    우박은 구름 속에서 얼어붙은 물방울이 지면으로 떨어지면서 발생합니다. 구름 안에는 비가 내리기 위해 물방울이 충돌하고 붙어서 커져 구름 안에서 상승하다가 구름의 최고층에서는 영하온도가 되어 얼어붙게 됩니다. 이 얼어붙은 물방울들이 구름 안에서 계속 충돌하면서 더 커져 우박이 됩니다. 우박이 지면으로 떨어질 때는 기온이 상승하여 녹아서 비가 되거나 그대로 남아서 우박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으로 우박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공손한콩중이288입니다.

    지표 부근에서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머문 가운데 북서쪽에서 내려온 차고 건조한 공기가 만나 대기가 매우 불안정해져 비구름대가 강하게 발달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기쁜향고래73입니다.

    우박은 구름이 응결되어 비로 내리는 도중 날씨가 추우면 눈으로 변하고 주변에 수증기가 많으면 주변 수증기가 얼음에 붙으면서 커지는 것입니다. 우박이 비와 함께 내리는 경우라 많은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얌전한부전나비56입니다.


    구름 안에서 결정화되어 내리는 눈과는 달리 우박은 비가 내리는 도중 얼어서 생기거나 공기중에서 생성된 얼음 조각에 수증기가 계속 달라붙어 크기가 커지게 되어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날다람쥐렁이입니다.


    우박이 내리는 이유는 대기 중에 있는 수증기가 응축하여 구슬모양으로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고도와 온도가 적절하고, 먼지나 진흙 등의 입자가 충분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