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도덕적인아나콘다198
도덕적인아나콘다198

안녕하세요 주식관련 해서 궁굼합니다

주주가치 재고를 위한 주식을 소각후 다시 소각한 자사주식을 매입을 하는데 소각를 한 다음에 다시 매입을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 수가 줄어들어 주당 가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주들에게 이익이 되는 대표적인 주주환원 정책입니다. 자사주 소각은 자기자본 감소로 이어져 ROE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ROE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ROE 개선은 기업 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사주를 매입하여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 수를 조절함으로써 주가 급락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주가 흐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은 주주 환원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될 수 있습니다. 자사주를 매입하여 보유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 처분하여 투자 자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적대적 M&A 시도가 있을 경우, 자사주를 매입하여 우호 세력에게 매각함으로써 경영권을 방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소각을 한 물량만큼 다시 자사주를 매입하는 것은 내부적으로 자사주를 어느정도

      유지해야 하는 수량이 있기 때문입니다

    • 한 번 소각을 한 주식을 다시 매수한다는 생각 보다 소각을 하게 되면 그 수량 만큼은

      완전히 사라지는 것으로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소각과 자사주 매입은 기업이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주식 소각은 유통주식 수를 줄여 주당 가치를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자사주 매입은 주가 지지와 함께 향후 다양한 재무적 전략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기업이 주식을 소각한 후 다시 자사주를 매입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주가가 저평가되었다고 판단될 때 추가적인 자사주 매입으로 주가를 지지하거나, 미래의 m&a나 임직원 보상 등에 활용하기 위함일 수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주주가치 제고 의지를 시장에 보여주는 신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기업의 재무 상황과 시장 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그 이유는 일단 소각을 해서 주주 가치를 제고하고, 추가적으로 더 매입한 이후 추가 소각까지 하는 계획이라면 2번에 걸쳐 주주 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되므로 주주 입장에서는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지금 이렇게 하고 있죠.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한 후 소각하는 경우 배당처럼 주주에게 이익을 환원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소각 목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하게 되면 주식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주주의 지분율이 상승하고 미래 배당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자사주 소각 후 다시 매입을 하는 경우가 어떤 사례인지 알려주시면 해당 내용 확인후 보다 정확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