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빠른숲제비91
빠른숲제비9120.09.28

관련 직업으로 가고싶은데 공부는 어느정도 할까요?

중학교 학생인데 프로그래밍쪽 직업은 공부를 어느정도 해여 할까요 공뷰를 못 하기도 해서 동기부여하는 식으로도 될 것 같아서 질문합니다. 관련 학교같은 것도 알려주실 수있으면 알려주십쇼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공입니다!

    저능 현재는 현직에서 웹디자인과 웹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는데요.

    난이도는 프로그래밍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실 수 있어요~

    기본만 익히시면 하중상으로 점차 발전하는 프로그래밍을 하실수 있답니다!:)

    일단 서점에서 제일 쉬워보이는 책으로 배우고 싶은 책으로 구매를 하신 후, 아래 순서대로 진행해 보세요!

    단! 일단 시도해보시고 아니다 싶으면 빠르게 다른 길을 찾으셔야 해요~

    프로그래밍을 직접 해본 사람으로서 약간의 재능도 필요한게 프로그래밍이랍니다!

    시작부터 해보시고! 경험해본 후에 진로를 또 정하셔도 늦지 않은 나이에요! 파이팅입니다!!:)

    🌷 코딩의 본질을 제대로 배워보고 싶으시면 기초 지식을 쌓을겸 C언어를 배워 보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C언어를 배우고 나서 JAVA를 배우시면 자바를 좀더 쉽게 접근하실 수 있을거에요!:)

    공부해본 사람의 입장으로서

    언어의 성질이 좀 달라서 배우실때 혼란이 있으실 수는 있을것 같은데 시작부터 자바를 배우시고 나면 C언어를 이해하시기가 더 어렵거든요~

    그래서 그렇게 권장 드리는것이고:)

    사실 실무적으로는 자바가 좀더 실용성이 있어요!

    1 일단 진로의 방향 부터 잡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2 진로의 방향에 따라 배워야 하는 언어가 달라요~

    3 서버관리 같은 직업은 C언어를 배우셔야하고 어플개발 등 웹관련 업무에는 JAVA가 더 필요해요~

    완전히 처음이시라면~

    시작이 반이다! 일단 하나 잡고

    1 앱을 만든다던가

    2 사이트를 만들어본다던가

    하는 기초 개발부터 시작해보세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건강조심하시고 좋은하루되세요:)


  • 솔직히 말씀드리면 학교 성적에 크게 좌우되지는 않습니다. 프로그래밍 실력만 좋다면요. 하지만 아직 중학생이고 배워야할게 많은데 여기에만 몰두하는 것은 안 좋은 것 같네요.

    다른 기초 학문도 있어야 프로그래밍도 더 잘할수 있고 나아가서 대학에서도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텐데.. 지금부터 너무 여기에만 몰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학업을 하면서 틈틈히 프로그래밍 공부도 하는 게 낫지 않나 싶네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지식답변자 다라닝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프로그래밍 관련은 컴퓨터공학이 일반적입니다.

    공부는 학업기준으로 꾸준히 하시고 프로그래밍은 취미삼아 머리 식힐때만 하시길 귄합니다.

    아직은 천천히 하셔도 되고 내신이 더 중요한 시기입니다.

    프로그래머가 목표라면 프로그래밍 공부는 은퇴하실때까지 하셔야하므로 천천히 하셔도 됩니다!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적인 문의가 필요하시면 답변 부탁드려요!


  •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공부보다는 프로그래밍이 재미가 있어야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물론 공부를 잘하는 것이 좋기는 하겠지만 필수는 아니라고 생각이 됩니다.

    한번쯤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강의를 들어보고 개발자를 직업으로 삼는 것이 괜찮을지 고민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의외로 대학교때 프로그래밍을 하다가 포기하는 친구들이 많더군요

    적성이 맞지도 않을 뿐더러 프로그래밍이 재미가 없다보니 같은 학과를 나왔지만 전혀 다른일을 하고 있는 친구들도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관련 학관는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컴퓨터 공학과 또는 소프트웨어 공학과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프로그래밍은 원래 혼자서 독학해야 하는 직종입니다. 대부분의 모르는 것들은 구글에 검색하면 다 나옵니다. 혼자서 독학하기에 좋은 프로그래밍 인강 사이트는 유료로 한다면 인프런 이라는 사이트가 있고 일단 맛보기라도 먼저 해보고 싶으시다면 생활코딩이라는 사이트를 접속하셔서 한 번 영상 훑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시작하기 좋은 프로그래밍언어는 nodejs 혹은 javascript, python 등이 있습니다. 만약 앱개발을 원하신다면 무조건 자바를 하셔야 합니다. 안드로이드가 자바기반으로 되어 있으며 코틀린 언어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현업에서는 C언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파이썬을 사용하는 부서는 있으며 주로 자바나 자바스크립트 nodejs 를 사용하는 부서가 가장 많습니다.

    그 외의 프로그래밍이라면 html, css, javascript 등과 같은 것은 https://w3schools.com 에서도 충분히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 우선 작성자분께서 싫어하실 답변입니다만...

    공부를 못하시면 좋은 프로그래밍 관련 고등학교, 대학교에 진학하시기 힘듭니다.

    그리고 그러면 더 좋은 환경에서 더 좋은 교사진에게서 더 좋은 커리큘럼으로 배우기 힘듭니다.

    기본적으로 중학생 수준의 공부는 지금 당장 못하더라도 충분히 따라잡을수 있는 수준입니다.

    우선 안산의 디지털미디어 고등학교, 서울의 선린고등학교 등 프로그래밍으로 유명한 학교에 진학하실수있게 공부를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프로그래밍은 심지어 대학교 진학 이후에 배우셔도 전혀 늦지 않습니다.


  • 아주 단순하게 코딩의 맛을 보시려면

    https://scratch.mit.edu/ 여기를 추천드립니다

    https://scratch.mit.edu/explore/projects/all <== 여기는 다른사람들이 스크래치로 만든 게임등을

    플레이할 수 있는곳이데요

    나름 재미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기서 자신의 적성과 잘 맞다고 생각되면 그때 프로그램 개발을 어떤 목적으로 할것이냐에

    따라서 배워야 할 언어가 틀려지기때문에,

    스크래치에서 경험을 쌓은후 다시 재 질문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프로그래밍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이 분야에 호기심을 가질만한

    질문이 대부분 뭐부터 해야되냐, 무슨 언어가 좋냐 등의 내용을 물어보시기때문에

    공통된 답변을 드리기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0. 프로그래머가 뭐하는 사람이에요?

    프로그래머라는 직업은 광범위한 업무내용을 담고 있지만 통상적으로

    컴퓨터의 운영체제 위에서 어떠한 목적을 가진 응용프로그램 을 개발하는 사람입니다.

    1. 코딩?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은 어떠한 데이터를 입력해서 산출하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해 설계하고 구축해나가는 행위입니다.

    이것을 컴퓨터를 이용한 응용프로그램을 만드는 일을 말합니다.

    현대에는 컴퓨터가 발명되어서 널리 쓰이고 있으므로 프로그래밍이라 함은

    의도된 루틴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하고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명령어(코드)를 작성해 실행하고

    목적하는 결과를 산출하기까지의 행위를 말합니다.

    하지만 컴퓨터가 발명되기 전의 과거에도 프로그래밍은 있었습니다.

    공학적인 방법론에 의해서 입력과 출력에 관한 설계구축은 어느 분야에나 필요하기 때문에

    계산기의 발명을 하던 시절부터 프로그래밍은 있었다고 봐야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프로그래밍이란 행위의 근본적인 이해를 하려면 컴퓨터와 연관짓는 범주를 넘어서서

    통합적으로 생각해봐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코딩은 그러한 프로그래밍 행위의 일부인 명령어 실행을 위한 입력 작업입니다.

    그러면 코딩을 할줄 알면 프로그래밍을 할줄 아는 것이냐? 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프로그래밍은 위에도 말했다시피 더 큰 범주의 작업 행위에 해당하기 때문에

    코딩만 할줄안다고 프로그래밍을 할 수있는 건 아닙니다.

    물론 코딩을 계속하다보면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 소양들을 자연스럽게 몸에 익히게 됩니다.

    2. 난 스크래치 좀 해봤는데?

    프로그래머의 업무에 적합한 소양중에는 프로그래머의 공학적 사고방식이 필수입니다.

    학교에서 가르쳐주는 스크래치같은 도구는 그런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사고방식을 익히기 위한 목적의 도구입니다.

    그것만으로는 코딩이나 프로그래밍을 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3. 그럼 뭐부터 해야되나?

    일단 개발언어의 선택이겠죠?

    컴퓨터가 세상에 나오고 대중화 되면서, 그 안에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데에 여러 시도가 있었습니다.

    위에서도 말했다시피 코딩은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명령어를 작성하는 것이고,

    그런 컴퓨터와 대화하는 명령어는 수천개에 달할 정도로 엄청나게 많습니다.

    그 수천 개 중에 어떤 개발언어를 익히는지는 순전히 개인의 선택이지만,

    국가별로, 산업군별로, 세부 분야별로 선호되는 언어가 있습니다.

    본인이 어떤 분야에 관심이 가는지에 따라 추천되는 개발언어는 다르다고 할 수있습니다.

    사례를 들어봅시다.

    가. 우리나라는 통상적으로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라는 것을 도입해서 배포했고,

    관공서, 공기업. 일반 기업 등 많은 부문에 퍼져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자바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

    그 수요에 맞춰 자바 개발자를 많이 교육하고 배출했으며

    현재 업계에서 자바언어를 다루는 개발자를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나. 몇년 전부터 빅데이터, 인공지능이 대두되면서 이 데이터들을 핸들링해서

    결과를 도출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에 쓰이는 언어로서 파이썬이 각광받습니다.

    다. 스마트폰이 세상에 나온 뒤로, 득세를 한 것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인데, 수년간 자바언어를 써왔습니다.

    당연히 그 위에 올라가는 앱도 자바였지만, 여러 사정상 언어를 코틀린으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라. 하드웨어에 돌아가는 펌웨어는 CPU에 직접적인 접근을 해서 연산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C, C++, C#이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업계의 수세부분야, 수요와 트렌드에 따라, 필요로하는 언어와 기술 소양은 각기 다릅니다.

    그러무로 본인이 뭘 하고 싶은지부터 생각해보고 언어를 선택하는 것이 순서입니다.

    그리고 그 선택한 언어데 따라 개발환경, 도구가 모두 상이하므로 이런 언어선택의 방향을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4. 프로그래머 돈 많이 버나요? 안정적인가요?

    이것도 매우 다양한 답이 돌아옵니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프로그래머는 안정적인 직업이 아닙니다.

    IT기술이 년단위로 크게 변화하고 있고, 그에 맞춰서 업계의 입맛이 바뀌기 때문에

    필요로하는 개발자의 소양도 바뀝니다.

    저같은 경우 PHP로 시작해서 자바 언어를 다루고있고, 필요에 따라

    javascript, node.js, go, python을 더 다루게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난 이거 한가지로 계속 밥벌어먹고 살아볼테야' 라는 인생전략이 통하지 않는 분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수입도 정규직이냐, 프리랜서냐에 따라 다르고, 경력에 따라 또 다릅니다.

    그리고 수도권 대기업에서 일하느냐, 지방 중소기업에서 일하느냐에 따라 또 큰 차이가 있구요.

    하지만 다른 어느 개발자들을 붙잡고 물어봐도 공통적인 답이 돌아올겁니다.

    '이 분야는 계속 공부 안하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답이요.

    5. 영화나 드라마 보면 프로그래머나 해커가 엄청 멋져보이던데...

    뭔가 엄청 복잡한 것들이 화면에 나오고 그걸 엄청난 속도의 타자로 처리하는 모습이 일반적으로 나올겁니다.

    그리고 그것을 단 몇분만에 처리하구요.

    그런 모습을 보고 환상에 젖어 이 분야에 호기심을 갖는 청소년도 있을것으로 압니다.

    하지만 그건 영화나 드라마일 뿐이구요, 그런 매체에서 보이는 작업하는 모습은 허구입니다.

    실제로 그렇게 타자를 빨리 치는 일도 별로 없으며,

    뭔가 복잡해보이는 것은 없습니다. 그 복잡해보이는 것도 결국은 어디선가 누가 만드는 과정이 있었겠죠?

    그리고 통상 개발자가 코드를 대하는 화면은 편집기와 콘솔창입니다.

    그리고 프로그래머의 속성은 끈기있게 노가대하는 겁니다.

    코드 하나를 잘못 작성했거나, 알고리즘이 틀려서 몇날 며칠을 허비하고,

    원하는 결과하나를 보기 위해 몇시간을 모니터를 들여다보고 있기도 합니다.

    이게 통상적인 프로그래머의 모습이고, 매우매우 지루한 과정을 참아가면서 일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프로그래머는 컴퓨터를 가지고 끈기있게 일하는 노동자'이지

    무슨 컴퓨터를 지배하는 자가 아님을 말씀드립니다.

    호기심을 갖는 것은 좋으나 일단 진지하게 일을 하고 싶은지,

    그리고 그러한 과정들을 감내할 수있을지 먼저 생각해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