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지각구조형성의 이론적관점에서 볼 때,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이 상이점이 보이는걸 설명할수있나?

지각의 구조형성의 이론적 관점

즉 말하자면

판구조론에서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이 서로 상이한 점을 보이는 데요

일단

지각은 지구내부 맨틀대류나 판의 이동에 의해 주로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엄격한 판 구분, 마그마 상승 등

다양한 구조적 변형이 발생하는데

이를 지구과학에서는 판 구조론이라 명명합니다.

대륙지각은 주로 규산염성분으로 구성되면서 밀도가 낮고 두꺼우며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의 재융합, 변성작용 등 복잡다단한 과정을 통해 생성됩니다.

해양지각은

주로 현무암질 조성으로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고 두께가 얇은 특징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각구조형성 이론, 즉 판구조론적인 이론에 따를 때

이런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의 상이점은

왜 생긴다고 설명이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판구조론에 따르면 해양 지각은 두 판이 갈라지는 발산형 경계에서 만들어집니다. 발산형 경계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해당하며, 경계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잡아 당겨지는 장력이 작용하여 두 판이 서로 멀어집니다. 이 때 이 갈라진 틈을 맨틀 대류의 상승에 따라 만들어진 마그마가 분출하여 메우게 되는 데 이것이 해양지각입니다. 마그마는 지하 물질 중 녹는점이 낮은 광물이 용융되어 만들어지는데, 일반적으로 SiO2 함량이 높을수록 녹는점이 낮으므로, 마그마는 생성되는 장소의 물질보다 SiO2 함량이 많게 됩니다. 현무암질 마그마가 만들어지는 곳은 맨틀인데, 맨틀을 구성하는 물질의 평균조성은 감람암질입니다.

    대륙지걱을 구성하는 화강암질(유문암질) 마그마는 일반적으로 대륙지각의 용융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섭입대의 하부에서는 섭입하는 해양지각과 그위의 퇴적물에서 빠져나온 물의 작용으로 맨틀 물질의 용융점이 낮아져 현무암질 마그마가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현무암질 마그마가 상승하다가 대륙지각의 아래에 부착되어 대륙지각을 용융시키면 유문암질 마그마가 만들어집니다.

    해양지각(현무암질)이 대륙지각(화강암질)에 비해 밀도가 크고 얇은 이유는 마그마의 특성에 의한 것입니다. 마그마의 성분에 따라 정출되는 광물이 달라지는데 온도가 높은 곳에서 정출되는 광물일수록 SiO2 함량이 적습니다. 이것이 암석의 밀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리고 현무암질 마그마는 화강암질 마그마에 비해 유동성이 매우 커서 잘 흐르며, 발산경계로 빠져나와 해양 지각을 이루는 마그마는 빠져 나옴과 동시에 양쪽으로 이동하므로 두껍게 쌓일 수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