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희망풍차
희망풍차

신용평가 점수 나이스랑 kcb랑 왜이렇게 차이나죠?

일단 나이스는 점수가 1000점 입니다. kcb는 926점이네요ㅜ 보통 은행에서 대출금리 심사 시 무슨 평가사를 더 우대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문의글 답변드립니다.

    답변 : 나이스점수 평가기관은 나이스지키미 / KCB점수 평가기관은 올크레딧이고,

    두 기관은 평가 항목의 비중에 차이가 있습니다.

    예시로

    1) 상환이력 평가 (채무를 잘 갚아 왔는지)

    : 나이스지키미 30.6% / 올크레딧 21%

    2) 부채수준 평가 (현재 채무는 얼마나 있는지)

    : 나이스지키미 26.4% / 올크레딧 24%

    3) 신용거래 형태평가 (어떤 대출상품을 이용했는지)

    : 나이스지키미 29.7% / 올크레딧 38%

    4) 신용거래 기간평가 (신용카드 또는 대출은 언제부터 이용했는지)

    : 나이스지키미 13.3% / 올크레딧 9%

    5) 비금융거래 평가

    : 나이스지키미 0% / 올크레딧 8%

    • 나이스지키미는 상환이력을 위주로 평가를 합니다.

    즉 연체가 있다면 점수가 크게 떨어지고, 신용거래 기간등이 적어도 점수가 낮게 책정됩니다.

    • 올크레딧은 신용거래 형태를 위주로 평가합니다.

    은행권 대출을 이용했다면 크게 문제 없지만 카드대출이나 비금융권 상품을 이용하셨다면 점수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사별, 상품별 심사진행시 우대하는 점수는 모두 상이합니다.

    대부분 나이스와 KCB점수 모두 고려하여 은행 내부적인 등급을 만들어냅니다.

    🪪 세부정보를 원하신다면 프로필 확인해주세요.

  • ✅️ 이는 은행마다 다르며, 같은 사람이라도 나이스랑 KCB의 점수가 차이가 나는 이유는 각 신용평가회사가 중요시해서 비중을 더 두는 항목이 다르기 때문에 빚어지는 문제라 할 수 있습니다.

  • 나이스 평가 기관과 kcb 평가 기관의 평가 기준과 평가 항목은 대부분 비슷합니다.

    하지만 평가 항목에 대한 비중이 두 기관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점수 차이가 납니다.

    보통 대출 심사시 두 신용평가 기관의 점수를 다 봅니다.

    하지만 최종 대출 금리는 각 금융사별로 자체 신용등급 체계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 신용평가 기관인 나이스(NICE)와 KCB는 각각 독립적으로 신용평가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점수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이들은 각자의 평가 기준과 방법을 가지고 있으며, 고객의 신용 이력, 금융 거래 내역, 소득 수준 등을 고려하여 점수를 산정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나이스와 KCB는 신용평가 점수를 계산하는 방식이 달라서 점수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은행들은 보통 두 평가사 모두를 참고하지만 나이스 점수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대출 금리 심사할 때는 두 점수를 모두 보고 결정합니다.

  • 해당 제휴를 맺은 신용평가사를 어디를 이용하는지에 따라서 다른 것이며 둘다 사용하는 금융기관 등도 있으며 각 평가항목들의 가중치에 차이가 있기에 이에 따라서 신용점수가 차이가 나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 신용평가 회사마다 신용 점수가 다른 건 신경 쓰실 필요가 없습니다. 각 회사마다 평가 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금융기관에서는 그런 점을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 안녕하세요

    • 은행에서 어디를 더 우대하는 것은 없습니다

    • 어차피 은행에서는 양사의 신용점수를 조회하고 자체 CSS를 다시 돌려서 신용을 평가하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참고용으로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추가적으로 양사의 점수가 크게 차이나는 경우는 두 기업이 개인의 신용점수를 평가하는 항목에 있어서

      가중치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특정 부분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나이스와 KCB의 평가 항목별 비중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입니다.

    KCB는 신용 거래 형태를 중점적으로 보는 반면에 나이스는 상환이력정보, 부채 수준 등을 골고루 평가합니다

  • NICE와 KCB는 서로다른 신용등급 평가기준으로 평가합니다. NICE는 장기평점, kcb는 현금서비스나 단기,장기 카드론 등의 최근 신용실적을 위주로 평점반영을 합니다. KCB는 카드 이용 행태 등의 신용 거래 형태를 더 중요하게 평가하며, NICE는 연체 및 과거 상환 이력을 더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KCB는 대출 금리가 높아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대출일지라도 NICE에서는 상환만 잘 하고 있으면 문제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질문해주신 신용평가 점수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에선 일반적으로 NICE와 KCB가 개인에 대한 신용평가를 하는데

    이 둘의 평가 기준이 조금은 다르기에 점수에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 나이스와 kcb는 신용평가 기관으로 공식력이 있지만 신용평가점수 산정의 기준이 달라 일반 시중 금융기관입자에서는 참고용으로 보고, 실제적으로는 금융기관 개인신용평가 시스템을 근거로 신용대출을 검토합니다.